작년 누적 주택 인허가 42만8000가구…공공 늘고 민간 감소
|
연말 기준 건물 인허가 실적은 15만가구를 넘기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공부문은 늘고 민간부문은 줄면서 양극화 현상이 벌어졌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2836가구(15.2%) 증가한 2만1480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수도권이 4251가구로, 전월 대비 409가구(10.6%) 증가했다. 경기는 377가구(22.2%), 인천은 2가구(0.1%) 서울은 30가구(5.0%)씩 늘었다.
비수도권은 2427가구(16.4%) 증가한 1만7229가구였다.
같은 기간 전국 미분양 주택도 5027가구(7.7%) 증가한 7만173가구로 조사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은 각각 1만6997가구, 5만3176가구였다. 전월 대비 각각 2503가구(17.3%), 2524가구(5.0%)씩 늘었다.
|
특히 인허가는 15만5123가구로 전년 동월(9만7481가구) 대비 59.1% 증가했다. 통계 집게 이래 월간 기준 2010년 12월(15만7000가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물량이라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누계 주택 인허가는 42만8244가구로, 전년보다 0.1%(500가구) 줄었다. 단 공공부문 인허가가 1년 새 7만7891가구에서 12만9047가구로 65.7% 증가한 반면, 민간부문 인허가 물량은 35만853가구에서 29만9197가구로 14.7% 감소했다.
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민간 건설사들의 주택 공급 여건이 악화하면서 공공부문이 지난해 공급 물량을 힘겹게 떠받친 셈이다.
지난해 연간 주택 착공은 30만5331가구로, 전년(24만2188가구)보다 26.1% 증가했다. 아파트 착공(27만1514가구)이 36.0% 증가했지만, 비(非)아파트 착공(3만3817가구)은 20.6% 줄었다.
같은 기간 연간 분양은 23만1048가구로, 전년보다 20.1% 증가했다. 수도권 분양은 12만9346가구로 13.5%, 지방은 10만1702가구로 각각 29.7%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