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 100명이 예상한 올해 전망치
|
2일 경총이 발표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한 경제학자들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평균 1.6%로 정부 예측치인 1.8%보다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정부가 전망한 1.8%보다 낮을 것이라는 응답은 58%로 가장 많았으며,1.8%보다는 높을 것이라는 응답은 26%에 그쳤다.
향후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응답자의 64%는 '상당 기간 경제 성장이 정체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음으로 '일정 기간 하락 후 완만한 속도로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은 35%였으며, '일정 기간 하락 후 반등해 가파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응답한 경제학자는 없었다.
업종별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향후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산업경쟁력에 대한 전망에서는 '비관적'이라는 응답이 56%로 가장 많았다. '중립적'이라는 응답은 34%로 나타났으며, '낙관적'이라는 응답은 9%에 불과했다.
지난 1월 출범한 트럼프 정부 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응답자의 83%는 "미국 보호무역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답했다. 미·중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 한-미 협력 강화 등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응답은 8%에 그쳤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첨단기술 경쟁 심화, 보호무역 확산, 소비 부진 같은 요인들로 우리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경제학자들도 지금의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자국 우선의 냉혹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생존하고 경제가 재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