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측 "장기적 해결책 마련할것"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취임하면 '틱톡 금지법'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리겠다며 '틱톡 구하기'에 나섰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들은 틱톡이 미국에서 서비스를 종료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1억7000만 미국 사용자 대상 서비스를 중단했지만 14시간 만에 서비스를 다시 시작했다고 전했다.
틱톡 측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노력 덕분에 틱톡이 미국에 돌아왔다"며 "새로운 정부와 함께 법적 요건에 부합하는 장기적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이 우리 서비스 제공업자들에게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고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과 관련, 20일 취임하면 이른바 '틱톡 금지법'의 시행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림으로써 틱톡 서비스가 복구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틱톡 금지법에 명시된 틱톡 미국 사업권의 매각 기간을 늘리는 행정명령을 취임일에 낼 것이라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국가안보를 보호하는 합의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미국이 (틱톡과의) 합작 투자에서 50%의 소유권을 원한다"면서 "미국 승인 없이는 틱톡도 없으며, 우리의 승인이 있어야 어마어마한 가치가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미국의 관련 사업자들에게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할 것을 요청하면서 이들에게 틱톡 금지법에 따른 법적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밝혔다.
앞서 18일 트럼프 당선인은 NBC와의 인터뷰에서 틱톡이 미국에서 금지되기 전 기한을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아마도 (취임식이 열리는) 월요일(20일)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틱톡 금지법 시행을 60~90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 발동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미 의회는 지난해 4월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틱톡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중국 공산당이 틱톡을 통해 미국의 국가 안보와 선거 및 여론 형성 등에 개입할 수 있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틱톡은 이 법 시행을 하루 앞둔 지난 18일 밤에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