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의원은 전날(13일) 언론인터뷰에서 "'네이버 채널'이라는 인링크 방식에 들어간 언론사들은 2020년부터 단일 약관을 수용하거나 불만이 있으면 나갈 것을 강요받고 있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최 의원은 "현재 네이버는 그(가두리) 안에서 획일적인 기준을 강요하며 이윤을 추구한다"며 "그 결과 업계 전체가 황폐화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사회적 비판을 막기 위해 정치권과 관계, 언론계 출신 인사들을 채용하고 로비를 한다는 게 최 의원의 설명이다.
실제로 기자 약 300명의 레거시 미디어들과 신생 인터넷매체들이 같은 기준으로 감시와 규제를 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 네이버는 "뉴스는 돈이 안 된다"고 언급하지만 절대 뉴스 서비스를 놓지 않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중심의 뉴스 유통 환경에 인한 과도한 조회수 경쟁으로 저널리즘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최 의원은 이를 두고 "국회에서 줄기차게 네이버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라며 "최근 글 임의 삭제, 허위 리뷰 방치 등 제보 약 60건이 쏟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아울러 "네이버와 싸운다고 하면 응원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걱정하며 말린다"며 "뉴스부터 쇼핑, 검색까지 일상을 잠식한 네이버의 엄청난 영향력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했다.
최 의원은 또 "네이버를 건드리는 게 의원들이 재선하는 데 도움이 되겠느냐"며 "네이버가 전국에서 펼치는 사회 공헌, 지역 상생을 기치로 내건 선심성 캠페인이나 사업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의원이 몇이나 되겠냐"고 언급했다. 네이버와 친하게 지내는 게 재선에 유리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정부도 네이버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다는 게 최 의원의 지적이다. 네이버가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최 의원은 디지털 산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두고 "'네이버 장학생'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온정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며 "각종 토론회에서 '포털이 필요하다, 육성해야 한다'며 네이버 방어만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최 의원은 내년 총선을 앞둔 올해 네이버 문제가 개선될 것인지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지만 "지금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수많은 사람들이 그 안에서 소멸될 것"이라며 "사람들이 인터넷 세상에서 더 안전하고 창의적으로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 단 한 마디라도 제보해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