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오는 23일 서울 건설회관에서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를 출범한다고 22일 밝혔다. 협의체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한건축학회, 한국철강협회, 스마트모듈러포럼이 참석한다.
모듈러 주택은 창호와 벽체, 전기배선, 배관, 욕실 등의 자재와 부품이 미리 조립된 박스 형태의 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으로 운반해 조립한다.
이 공법은 공기를 30% 이상 단축할 수 있으며 90% 이상 재활용이 가능한 철골 구조를 사용해 건축 폐기물이 적다. 에너지 사용, 탄소 배출 감소와 함께 소음·진동·분진도 비교적 적다. 건설 기능인력 고령화, 숙련공 부족 등 주택건설산업이 당면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꼽힌다.
국내 주택 건설에서 모듈러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0.66%(310억원) 수준이다.
협의체는 모듈러주택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정책 발굴에 협력하고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워크숍과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모듈러주택에 대해 용적률, 건폐율, 높이 제한 완화 혜택을 부여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를 지속할 방침이다.
권혁진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경기침체 등으로 위기에 직면한 주택시장에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으로 모듈러주택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모듈러주택 활성화와 더불어 모듈러 산업의 해외 진출에도 큰 역할을 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