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데이터 활용 인프라·제도 우수해도 활성화 미흡
보험연구원 박희우 연구위원은 31일 '보험업의 데이터 결합·활용 사례 및 시사점: 의료데이터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공공의료데이터의 데이터 가용성(인프라)과 거버넌스(제도적 기반)가 갖춰졌지만, 사회적 공감대가 부족해 실질적 활용에 제약이 생겼다"면서 이같이 제안했다.
공공의료데이터 공유는 공공기관과 비영리 연구기관의 이용자에게만 허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보험사 등 영리기업은 공공의료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박 연구위원은 "법적으로는 이차적 활용이 가능하지만 공공데이터가 제한적으로 활용되는 데는 주요 이해관계자간의 신뢰와 협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보험시장에서도 신뢰와 협력의 부재가 재현되면서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재식별을 통해 개인이 특정 돼,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회적 우려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에서도 국가의료서비스(NHS)가 전 국민 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사회적 합의에 실패해 대규모의 의료데이터를 결합·개방하려는 프로젝트가 중단된 사례가 있다.
이에 박 연구위원은 "공공의료데이터 활용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신뢰도 제고 방안과 정보 주체에 대한 이익 배분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공공의료데이터의 정보주체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이므로 데이터 활용에 따른 수익을 국민건강보험기금과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국은 공공의료데이터의 이차적 활용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와 제도가 세계적인 수준이므로 보험회사가 데이터 활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데도 선도국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