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바이러스 등 변수 남아
"내년 상반기 이후 회복세 보일듯"
|
23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지난 추석 연휴인 18일 출발한 사이판행 항공편의 탑승률은 85%를 달성했다. 특히 해당 항공편 승객 150명 가운데 95% 이상이 패키지 상품을 구매한 트래블 버블(여행안전권역) 수요로 나타났다. 이는 대한민국~사이판 간 트래블 버블 제도 시행 후 최고 수치다.
백신 접종률 증가로 여행 심리가 꿈틀대면서 괌과 사이판 등 국제선 수요가 점차 살아나는 추세다. 실제 아시아나항공은 연말까지 1000여 명 이상의 사이판 예약 유치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진다. 7~8월 트래블 버블 여행객 수요가 한 편당 10명 이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고무적인 상승세다.
이 밖에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등 저비용항공사(LCC)들의 국제선 예약률 또한 상승세다. 18일 기준 제주항공은 괌과 사이판행에 각각 108명·119명이 티웨이항공은 괌행에 66명이 탑승했다. 예약자 가운데 교민 비중은 불과 5% 내외로 대부분이 트래블 버블 여행 수요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살아나는 국제선 수요와 달리 수익성 개선은 갈 길이 멀다는 게 업계의 분위기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미미한 숫자인 데다 여전히 변이 바이러스 등 변수가 남아있다는 점에서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추석기점으로 연말까지 국제선 예약률이 크게 늘었다”면서 “탑승률이 평균 60~70%만 돼도 수익성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만 실제 탑승률이 얼마나 나오는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 백신접종율 증가에 따른 여행 심리의 회복 기조에 맞춰 국제 여객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변수가 많아 여행 심리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신호로 보기는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전했다.
설상가상으로 한 가닥 희망이었던 국내선 수요 또한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선은 국제선이 막힌 항공사들에는 유일한 현금 창출원이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가 이어지면서 국내선 수요 또한 크게 낮아진 상황이다. 내달 대체공휴일로 두 번의 3일 연휴기간이 생겼지만 수요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위기다.
시장에서는 내년 2분기나 돼서야 업황 회복이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항공 여객자는 2019년 대비 52%, 2022년에는 88% 수준이 예상되며 2023년이 돼야 105%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즉,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여객 수요가 회복되려면 1년 이상이 남았다는 말이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국제선 수요는 국내를 포함한 다수 국가들의 백신 접종률이 75%를 달성한 뒤에 빠르게 회복될 전망”이라며 “2022년 2분기부터 해외여행의 안정성이 점차 담보되기 시작하면서 국제선 수요가 서서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2023년에는 예년 수준으로의 회복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