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페이스 랜드마크(Face Landmark) 기술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얼굴 인식은 물론 표정까지 알 수 있다. 기초적으로는 이모지 생성 등에 활용됐지만, 이를 고도화 하면 표정과 감정, 사용자 행위로 특징을 검출해 비대면 수업태도 확인, 온라인 시험 부정방지, 반려동물 혹은 독거노인 이상징후 분석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대시키고 사회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국내 최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 KT와 국내 최고 과학기술 연구기관인 KAIST가 혁신적인 AI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잡고 ‘AI·SW 기술 연구소’ 설립에 나선다.
KT는 구현모 대표와 KAIST 이광형 총장이 ‘AI 및 SW공동 연구소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협약식은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KAIST 본원에서 진행됐으며, KT 구현모 대표, 홍경표 융합기술원장, 김채희 전략기획실장, 김봉기 AI연구소장 등과 함께 KAIST 이광형 총장, 이상엽 연구부총장, 고동환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장 및 류석영 전산학부장 등이 참석했다.
국내 최고 과학기술 연구 기관인 KAIST와 본격적인 협력을 통해 AI 원천기술과 산업기술을 아우르는 R&D를 고도화 하고 미래 인재 육성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KT와 KAIST는 KT가 보유한 대덕2연구센터에 ‘AI·SW 기술 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연내 공식 출범 시킬 계획이다. KT는 교수와 연구원, KT 직원 등 약 200명이 상주할 수 있는 R&D 공간 마련과 전용 GPU 서버팜 구축 등 연구 인프라 지원에 나선다. 양측은 AI·SW 기술 연구소가 △최첨단 인프라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 연구인력 △상용 서비스와 연구 현장을 아우르는 KT와 KAIST 방대한 데이터 등 ‘초거대 AI’ R&D를 위한 준비된 역량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KAIST의 우수한 역량과 KT의 AI 기반 사업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원천 기술’과 ‘산업 AI(Industry AI)’ 분야에서 총 20개의 초기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우선, ‘원천 기술’과 관련해서는 음성, 비전, 휴머니스틱 AI(인간중심 AI) 등 15개의 미래지향적인 연구과제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사람과 유사한 대화와 추론, 음성·영상·센싱 등 복합 정보 기반의 정교한 상황 인지와 답변이 가능한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이와 함께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차세대 시장 발굴을 위해 미디어, 헬스케어, 로봇 등 ‘산업 AI’ 분야에도 초기 5개 과제를 선정해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양측은 내실 있는 공동 연구 성과를 통해 삶의 변화와 산업의 디지털 혁신에 앞장 설 계획이며, 매년 협의를 통해 연구 과제를 갱신한다.
공동 연구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차세대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고 효율적인 AI 인프라 구축을 이끌어 낸다는 목표다. 예를 들어 GPT-3[1]이후 차세대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등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AI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포스트 AI 시대’를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창업을 희망하는 KAIST 학생을 대상으로 KT가 가진 역량을 활용해 공간, 장비, 인력 등 보육 인프라도 지원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발굴, 육성, 투자 등 KT가 진행해온 액셀러레이터 모델을 활용한 창업 멘토링 프로그램도 적용 예정이다. 또한, 공동 연구 참여를 통해 역량이 입증된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장학금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KAIST 이광형 총장은 “KT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 사업을 통한 차별화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훌륭한 AI R&D 파트너”라며, “향후 AI·SW 기술 연구소를 통해 학계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도 의미 있는 혁신 기술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KT 구현모 대표는 “내부 AI 역량 집중과 함께 AI원팀 조성, 스타트업 발굴 등 다양한 외부 협력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온 가운데, 이번 KAIST와 공동 연구는 KT의 AI R&D 도약과 사업 저변 확대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며 “국내 최고 산학 공동 프로젝트로 자리매김 시키고 고객 삶의 변화와 산업 DX를 선도할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