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지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중앙임상태스크포스(TF)팀장은 7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임상적으로 중증 질환은 아니다”며 “중증도는 사스와 메르스보다 떨어진다”고 밝혔다.
방 팀장은 “메르스 때는 인공호흡기가 피룡한 환자도 있고 신장 기능이 망가져 투석하는 환자도 많았다”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확진자의 경우 중증으로 갈 환자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폐렴이 심하면 폐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는 메르스나 사스 때처럼 폐 기능을 심각하게 망가뜨리지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현재 서울대병원에서 치료하고 있는 4명의 환자의 상태는 비교적 안정적”이라며 “이 중 1명은 조만간 퇴원이 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비교적 초기에 감시하고 있다가 증상이 나타나 입원하는 경우라 비교적 양호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실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치사율은 4% 정도로 평가됐으나 이 수치를 조정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지난 4일 전국 치사율은 2.1%지만, 후베이성 지역을 제외한 치사율은 0.16%라고 발표한 바 있다.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TF 자문위원장)는 “이 발표 우한시 지역의 초기 사망률이 왜 높았는지를 설명했는데 우한 지역에 집중 치료가 가능한 3차 병원은 3개고, 중증환자치료 침대는 110개 뿐으로 의료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가 상당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전파력은 사스와 메르스보다는 낮은 것으로 추정됐으나 첫 환자가 2차 환자, 3차 환자를 만드는 기간인 세대기가 짧아 전파 속도가 빠르다고 진단했다.
방 팀장은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추가 환자를 만드는지를 따지는 알제로(R0)값을 보면 사스는 3, 메르스는 원내 감염이 4, 원외 감염이 0.6인데 이번 신종 코로나는 2정도로 추측된다”면서 “왜 이렇게 퍼졌느냐는 첫 환자가 2차 환자를 만드는 기간인 세대기가 짧은 경향이 있어서 더 빨리 퍼지는 것 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TF는 국내 신종 코로나 환자들은 에이즈 치료제인 ‘칼레트라’와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을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방 팀장은 “국내에서는 ‘리바바린’과 에볼라 치료제 ‘인터페론’은 안 쓴다”며 “이유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인데, 환자가 중증이 아닌데 효과도 확신할 수 없는 약을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에볼라 치료제인 ‘램디스비르’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승인하지 않아 국내에선 이용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