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류관 분점 추진… 대북제재로 당장 현실화 가능성 '희박'
"북한 진출 1순위 외식…국내기업 진출시 공동 대응" 주장도
|
3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1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이후 국내에서 평양냉면 등 북한 음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크게 늘어났다.
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유명 냉면전문점은 수십 m씩 대기줄이 생기는 등 특수를 누리기도 했으며, 풀무원의 가정간편식 평양냉면은 정상회담 직후 매출이 3배 이상 증가한 바 있다.
특히 외식기업 놀부과 전통주 전문점 월향의 합작법인 ‘서울의 맛’은 국내 최초의 북한 가정식 전문점 ‘료리집 북향’ 1호점을 인천 송도에 열고, 2019년 서울에 추가로 매장을 열 계획이다. 남북 화해 무드로 북한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방증인 셈이다.
아예 북한 옥류관 분점 유치도 논의되고 있다. 이화영 경기 평화부지사가 지난 10월 “경기도에 북측의 옥류관을 유치하기 위한 남북 관계자들의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히자, 이튿날 고양시가 최대 18만㎡ 부지에 5000명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옥류관 분점을 짓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데 이어 파주시와 동두천시 등도 유치 의사를 밝혔다.
다만 옥류관 분점 추진은 유엔의 대북제재로 인해 당장 현실화되기는 어렵지만 외식업 남북교류의 상징적인 신호탄이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남북 경협사업이 본격화할 경우 외식업이 가장 먼저 북한에 들어갈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최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K-프랜차이즈 남북경협 진출전략’을 주제로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종전선언이 추진될 경우, 북한에 가장 먼저 진출할 1순위 업종은 외식업”이라면서 “북한의 가장 큰 문제가 식량이기 때문에 외자 유치를 위한 외식업종 진출이 가장 먼저 가시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 교수는 북한의 개혁개방 촉진을 위해 맥도날드·버거킹 등 다국적 프랜차이즈의 진출이 먼저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지만,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의 진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개별 접촉보다 공동 창구를 마련해 대응해야 한다”며 “북미간 종전선언을 기점으로 국제사회의 제재 완화가 이뤄지는 시기가 (북한 진출에) 적절한 타이밍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