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을 본따 개혁·개방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연합뉴스 30일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를 인용해 보도했다.
왕샤오커(王簫軻) 지린(吉林)대 동북아연구원 교수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핵 개발 대신에 경제건설로 방향을 돌린 것으로 전망했다.
왕 교수는 김 위원장의 방중, 시진핑(習近平) 중국 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의 회담이 전격 성사된 배경에 “북한으로선 한국, 미국과는 얘기할 수 없거나 남북·북미 협상에서 얻어내기 불가능한 사안들이 있다”며 “바로 경제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북·미 간 경제무역 관계는 거의 제로 상태이기 때문에 북한으로선 북미 대화가 잘 이뤄져 합의가 이뤄진다 해도 제재를 완화하거나 지원을 늘리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을 것”이라며 먼저 중국과 대화를 통해 경제적 실익을 보장받으려 했다고 주장했다.
실제 북한은 대중국 무역 의존도가 90% 이상에 이를 정도로 경제적으로 유착돼 있다. 이에 중국의 대북제재로 경제난이 가중됐기 때문에 북한으로선 중국과 먼저 대화하는 것이 실제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김 위원장 1박2일 베이징(北京) 체류 기간에 빠듯한 시간을 내 ‘베이징(北京)의 실리콘’ 중관촌(中關村)을 방문하기도 했다.
왕 교수는 김 위원장의 방중 수행단에 군 인사가 없었던 점에 주목했다. 그는 북한의 ‘선군정치’ 노선의 폐기를 선언하고 경제건설에 무게를 두기 시작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최근 김 위원장이 북한 국방위원회를 국무위원회로 바꾸고, 황병서가 군복을 입은 장면이 적어지고 각각 국무위원회 부위원장이나 노동당 정치국 상무위원 자격으로 등장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왕 교수는 아울러 “두 정상의 대화내용을 미뤄보면 북한이 지난 몇년간 중국을 공개 비판해오면서도 줄곧 중국을 학습하고 모방하고 있었던 사실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실제 김 위원장은 시진핑(習近平) 주석에게 중국 공산당의 반부패, 기율 확립 등의 ‘당 건설’을 높이 평가하며 북한 노동당에 대해서도 기강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왕 교수는 김 위원장의 방중에 이어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이어 비핵화 일정이 본궤도에 오르게 되면 북한이 본격적으로 개혁·개방을 추진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한반도 전문가인 진창이(金强一) 연변대 교수도 “북한이 덩샤오핑(鄧小平)에 필적하는 개혁·개방을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에 대해 부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달리 비교적 강한 민생 의식이 있고 일정한 개혁 의지도 갖고 있다고 평가하며 핵 보유를 통해 북한내 경제난을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핵 포기를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진 교수는 “김 위원장이 개혁·개방을 추진한다면 그 전제는 핵을 포기하는 것이 되겠지만 실제 그렇게 될지 여부는 좀 더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