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 부르기 의무화로 국민통합 강화하는 인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307010003902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기자

승인 : 2016. 03. 07. 15:15

타밀나두주 고법 "사립학교도 조례 때 국가 불러야"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뉴델리(인도) 특파원 = 인도 최남동부 타밀나두(Tamil Nadu)주 마드라스(Madras·주도 첸나이·Chennai의 옛 명칭) 고등법원이 주 내 모든 사립학교에서 조례 시간에 국가를 제창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인도 언론이 7일 보도했다.

마드라스 고법은 ‘타밀나두주 일부 사립학교가 조례 시간에 국가를 부르지 않고 있다’며 ‘국가 제창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청원에 대해 ‘사립학교들은 교과 과정의 일부로 국가 부르기를 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앞서 인도 중앙2차교육위원회(CBSE)는 지난해 11월 마드라스 고법의 질의에 대해 ‘예의를 갖추고 국가를 불러야 하며 국기도 존중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사립학교의 조회에서도 국가 부르기가 의무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판결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 집권 이후 인도 내에서 국가·국기·국어 등을 통한 국민 통합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내려진 것이어서 향후 그 영향이 전국으로 확산될 지 주목된다.

앞서 인도 내무부 산하 공식언어국은 지난해 12월 28일 차관을 포함한 정부 각 부처 고위공직자들에게 발송한 서한에서 정부 부처 대부분이 ‘공문서의 75%를 힌디어로 한다’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며 “일상에서 사용하는 간결한 구어체 힌디어를 공문서에 사용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인도에는 공식어만 22개가 있고, 공식어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인도영어가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인구 7000만명의 타밀나두주의 공식어는 타밀어다. 언어뿐 아니라 문화면에서도 델리광역수도권(NCR)과 인구 2억의 우타르 프라데시(Uttar Pradesh)주 등 인도 북부와 차이가 크다. 한국 드라마가 타밀어로 더빙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이유도 이 같은 언어·문화적 차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하만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