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펀치' 조재현/사진= 지난 17일 종영한 SBS 드라마 '펀치'(극본 박경수, 연출 이명우)는 6.3%(닐슨코리아, 이하 전국 기준)의 낮은 시청률로 시작했지만 마지막 회는 14.8%를 기록하며 월화극 1위로 박수를 받으며 떠났다. 극중 검찰총장 자리에 오르기 위해 온갖 비리와 불법을 저지른 이태준 역을 맡은 조재현은 '펀치'의 성공을 예측했다고 했다. 김래원, 최명길, 박혁권, 김아중, 온주완 등 연기파 배우들의 출연, '추적자' '황금의 제국'으로 이미 탄탄한 필력을 자랑한 박경수 작가의 조합은 제목 그대로 시청자들에게 시원한 '펀치' 한 방을 날렸다. "시청률 꼴찌로 출발했어요. 하지만 '펀치'는 잘 될 거란 확신이 있었죠. 함께 했던 배우들도 연기 경력이 이미 되는 배우들이었고 디테일한 연출력도 한 몫 했죠. 특히 대본이 정말 좋았어요. 대사가 금방 외워져요. 대본이 좀 늦게 나오는 편이었는데 보는 순간 반해요. 박 작가는 머리로 쓰는 게 아니라 가슴으로 써요. 캐릭터의 가슴에서 소리를 내니까 좀 더 진정성 있게 그려질 수 있었어요. 기존 드라마에서는 보지 못했던 화법, 배우에겐 매력적일 수밖에 없었죠." '펀치'는 믿었던 인물이 뒤통수를 때리고, 또 그 인물이 다른 인물의 뒤통수를 치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했다. 그 중심엔 이태준이 있었다. 자신을 검찰청장 자리에 오르게 해준 박정환(김래원)이 시한부 인생을 알고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을 때, 누구보다 사악하게 변했다. 하지만 시청자들은 이태준이 악역인 것을 알면서도 그를 응원하기도 했다. "찌질하고 못 살았던 유년기를 가진 이태준, 그런 콤플렉스를 갖고 성공해야겠다고 생각한 인물이에요. 이태준이 좋았던 건 자신이 나쁘다는 걸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었죠. 솔직한 이태준은 참 매력적인 인물이었어요. 무조건 악역이라고 해서 냉혹하지만은 않았죠. 박정환을 못살게 굴면서도 '네 가족은 책임진다'고 말해요. 가족에 대한 사랑이 남다른 인물이죠."
그리고 이태준의 내면에는 왠지 모를, 박정환에 대한 애정도 깔려 있었다. 배신과 배신이 난무하는 이야기 가운데 이태준과 박정환의 우정은 남달랐다. "20년 넘게 옆에서 붙어있던 조강재(박혁권)를 두고도 박정환에게 애정을 쏟는 건 박정환이 매력 있는 인물이었기 때문이죠. 조강재는 항상 옆에 있고 성실하긴 한데 영리하지 못했어요. 반면 박정환은 내 말을 잘 듣고 영리한 사람이었죠. 가르쳐준 것도 없는데 잘 해요. 쿵짝이 잘 맞았어요. 하지만 박정환은 내게 당근을 줬다, 채찍을 줬다 해요. 이태준은 '넌 나보다 독한 놈'이라고 말해요. 자신보다 더 독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 거죠." 매력적인 인물들을 만든 건 배우들의 힘이 컸다. 워낙 매 장면마다 연기력이 빛을 발했다. 조재현은 이를 '화합의 힘'이라고 말했다. "배우들의 기싸움이라는 기사가 많이 있었어요. 하지만 우린 기싸움을 한 게 아니에요. 연기는 같이 하는 거예요. 하나를 위해 만들어가는 거지 싸우는 건 아니죠. 목표를 위해 하나가 되는 게 연기에요. 그런 의미로 이번 '펀치' 배우들은 서로를 잘 도와 열심히 했죠." 조재현은 종종 강연에서 '뒤를 보며 갈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을 하곤 했다. 때로는 브라운관이나 스크린에, 때로는 연극 무대에 오르는 조재현이라는 배우는 대부분의 시간을 촬영장에서 보낸다. 촬영장은 모두가 '함께 하고 있는 곳'이다. 그래서 조재현은 "젊은이들 역시 뒤를 보며 갈 줄 알아야 한다"고 다시 한 번 충고했다. "전 배우예요. 촬영장에서 대부분 살아가며 연기를 해요. 연기하는 시간은 곧 살아가는 시간이나 마찬가지죠. 하지만 그 장소에서 내가 주인공이라고 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할 순 없어요. 연기는 함께 하는 공동체 작업이에요. 내가 하는 드라마에는 그런 사람들이 없어요. 자기만 생각하는 배우가 있다면 전 그 작품을 안 해요. 어차피 살다가는 인생, 가장 많이 사는 곳이 촬영장인데 그곳에서도 힘들면 어떻겠어요. 배우들, 후배들, 젊은이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자신을 조금만 낮추면 행복하고 우러러 볼 수 있다는 거예요."
많이 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