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단체들의 평균 공약이행률은 대구·충북·전남·경북·울산·대전·전북·부산·경기·강원·서울·경남·충남·인천·광주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부터 전체 평균 공약이행률 66.56%보다 낮았다.
대구는 평균 공약이행률이 74.40%로 전체 평균보다 8.84%포인트 더 높았다. 대구에는 8개 기초단체가 있다. 동구의 경우는 공약이행률이 87.27%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북구 단 1곳만 66.00%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고, 나머지 7곳 모두 전체 평균을 넘었다. 2010년 선거 당시 서구와 달성군만 무소속 단체장이었고, 나머지 6곳이 모두 한나라당 소속이었다.
충북은 12개 기초단체의 평균 공약이행률이 70.61%를 기록했다. 옥천군이 80.00%로 충북에서 가장 높은 공약이행률을 보였다. 전체 평균보다 낮은 곳은 음성군과 보은군 두 곳이고, 나머지 10곳은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충북 지역은 당선 당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5명, 자유선진당 소속 3명, 한나라당 소속 3명, 무소속이 1명이었다.
전남은 22개 기초단체의 평균 공약이행률이 69.44%, 이 중 영광군이 84.00%로 가장 높은 공약이행률을 보이며 전국 3위를 차지했다. 광양시·목포시·나주시·강진군·화순군·장흥군 6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16곳이 모두 전체 평균을 넘었다. 전남은 당선 당시 무소속 단체장이 7명이었고, 나머지 15명이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었다.
경북은 평균 공약이행률이 69.01%로 23개 기초단체 중 영덕군이 77.65%로 가장 높은 공약이행률을 보였다. 청도군·군위군·울릉군·문경시·청송군·울진군·경산시·경주시 8곳이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이 지역 기초단체장은 당선 당시 무소속 7명과 미래연합 1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5명이 한나라당 소속이었다.
울산의 5개 기초단체 공약이행률 평균은 68.97%였다. 북구가 74.71%로 가장 높았다. 당선 당시 민주노동당 소속 단체장이 2명, 한나라당 소속이 2명, 무소속이 1명이었다.
대전은 5개 기초단체 평균 공약이행률이 68.90%였다. 동구가 84.71%로 가장 높은 이행률을 보였다.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수치다. 중구만이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당선 당시 자유선진당 소속 단체장이 3명, 한나라당 소속 1명, 민주당 소속이 1명이었다.
전북은 임실군을 제외한 13개 기초단체의 공약이행률이 평균 68.50%였다. 임실군은 단체장이 직을 상실했다. 남원시와 순창군이 80.00%로 가장 높았다. 무주군·전주시·완주군·군산시 4곳만이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무소속 1명을 제외한 12명이 당선 당시 민주당 소속이었다.
부산은 16개 기초단체가 평균 68.31%의 공약이행률을 보였다. 연제구가 78.67%로 가장 높았다. 금정구·해운대구·서구·영도구·부산진구·동구 6곳이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무소속 3명을 제외하고 13명의 기초단체장이 선거 당시 한나라당 소속이었다.
경기 지역에는 가장 많은 31개의 기초단체가 있다. 공약이행률 평균은 65.77%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수원시가 81.94%로 가장 높은 공약이행률을 보였다. 전국 4위에 해당한다. 15곳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고, 16곳이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용인시와 하남시는 공약이행률이 50%에 못미쳤다. 당선 당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19명, 한나라당 소속이 10명, 무소속이 2명이었다.
강원 지역은 고성군·동해시·춘천시를 제외한 15개 기초단체의 공약이행률 평균이 63.78%였다. 3곳은 단체장이 사망이나 사퇴, 또는 직을 상실한 곳이다. 태백시가 77.89%로 가장 높았다. 태백시·영월군·원주시·삼척시·화천군·홍천군·정선군 7곳만이 전체 평균을 넘었다. 당선 당시 7명의 단체장이 한나라당 소속, 5명이 민주당, 3명이 무소속이었다.
서울의 25개 구청 중 양천구를 제외한 24개 기초단체의 공약이행률 평균은 63.23%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강북구가 75.00%로 가장 높았다. 양천구는 단체장이 2013년 4월 당선무효돼 현재 구청장 권한대행 상태다. 11곳이 전체 평균보다 높고, 13곳이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50%이하의 공약이행률을 보인 곳도 중구·중랑구·구로구·동작구 4곳이나 됐다. 당선 당시 한나라당 소속 단체장은 4명이었고, 나머지 20명이 민주당 소속이었다.
경남 지역 18개 기초단체의 공약이행률 평균은 63.05%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의령군의 공약이행률이 76.00%로 가장 높았다. 전체 평균보다 높은 곳이 의령군·창녕군·합천군·진주시·양산시·창원시·산청군 7곳에 불과했다. 당선 당시 무소속 단체장이 6명, 민주당 소속이 1명, 나머지 11명은 모두 한나라당 소속이었다.
충남은 15개 기초단체의 평균 공약이행률이 62.92%였다. 논산시가 76.67%로 가장 높았다. 논산시·천안시·금산군·태안군·청양군·아산시·공주시 7곳만이 전체 평균을 넘었다. 당선 당시 자유선진당 소속 단체장이 6명, 한나라당이 4명, 민주당이 3명, 국민중심연합이 1명, 무소속이 1명이었다.
인천은 옹진군을 제외한 9개 기초단체의 평균 공약이행률이 61.28%였다. 웅진군은 선관위에 5대 공약이 등재되지 않았다. 연수구가 73.33%로 가장 높았다. 전체 평균을 넘는 곳이 연수구·동구·계양구 단 3곳뿐이었다. 당선 당시 민주노동당 소속 2명과 무소속 1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6명이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었다.
광주는 5개 기초단체 평균 공약이행률이 61.27%로 가장 낮았다. 가장 높은 동구가 69.23%로 유일하게 전체 평균을 넘었다. 무소속 1명을 제외하고 4명이 당선 당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