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위원회 위원 중 여성과 학생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8일 학벌없는 사회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시교육청 산하에는 모두 66개 위원회가 설치돼 있으며 여기에 796명이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를 직업별로 살펴보면 전·현직 공무원 출신이 667명으로 83.8%에 이르렀다.
공무원 출신 다음으로 시민단체 52명 6.5%, 변호사·노무사 33명 4.1%, 기업 13명 1.6%, 시의원 11명 1.4%, 의사 6명 0.8%, 시민 4명 0.5%, 언론사 4명 0.5%, 종교계 3명 0.4%, 회계사 2명 0.3%, 학생 1명 0.1% 등이다.
이 단체는 "시교육청 관계자들이 47%나 참여하고 있다"면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판단이 이뤄지기 힘들고 주요정책 결정시 교육감이 고위 간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단체는 이어 "시교육청이 다양한 직업군을 위원회에 참여시키고 있지만 그 숫자가 미미해 구색만 맞추고 위원회에 다양한 목소리를 담는 데에는 소극적이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 관계자는 "교육주체인 학생의 참여율이 단 1명에 그친 것이나 여성 비율이 22%에 머문 점도 안타깝다"며 "공무원 참여비율을 낮춰 위원회의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