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칼럼][칼럼]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조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510947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11. 08. 04. 09:00

삼성SDS 클라우드전략그룹 이영훈 부장
삼성SDS 클라우드전략그룹 이영훈 부장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TV,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활발하게 이용하게 되면서, 일반 개인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컴퓨팅이 서비스 인프라로 친숙해지고 있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제공 인프라로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기업 내부 업무 영역에 대해서도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혁신을 실현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즉, 클라우드 컴퓨팅이 개인의 삶과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 자체를 변화시킬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을 변화시키는 혁신의 수단으로 활용함에, 기술이 아닌 비즈니스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필요로 할 때 IT 자원을 요청하고, 요청 자원을 확장성있게 즉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IT 서비스 모델의 진화로 조망돼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즈니스와 연계된 클라우드 컴퓨팅은 비즈니스 민첩성, 업무 효율성, 인프라 안정성의 3대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는 Time-to-market 서비스 출시가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데스크탑·서버 인프라를 제공받을 수 있고, IT 인프라의 안정성을 통해 지속적인 비즈니스를 추구할 수 있다. 

가장 많이 검토되고 있는 데스크탑 가상화 서비스는 가상의 데스크탑을 다양한 단말 환경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무엇보다도 기업의 임직원들이 사용하는 오피스 환경의 시공간 제약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데스크탑 가상화는 그린 IT 관점의 재택 근무, 스마트 워크, 기업의 문서 보안을 완벽하게 지원하고 있어, 많은 기업과 공공기관들이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클라우드의 진정한 가치를 위해 몇가지 사항을 제언해 본다. 

첫째, 무엇보다도 IT 인프라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받는 경우, 인프라 서비스 지원은 이에 기반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형 서비스와 연계돼야 한다. 이를 통하여 클라우드 도입 이전에 확보하고 있는 서비스 수준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현재 IT 인프라 중심으로 도입 검토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플랫폼 중심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발전돼야 한다. 최근 구글, 애플, 삼성의 모바일 플랫폼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의 IT 시스템은 플랫폼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과 인프라를 연결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플랫폼의 장에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기업 비즈니스 생태계의 근간을 형성하는 플랫폼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될 수 있다. 

셋째, 기존에 투자된 IT 인프라의 활용을 염두하여, 클라우드로 대체 적용하기 위한 로드맵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의 본질은 IT 서비스 제공 및 이용의 변화이듯이, 표준화된 IT 자원의 제공 방식과 더불어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맞춤형으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 구조도 병행 검토해야 한다.  

끝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신뢰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통해서 확보될 수 있으며, 서비스 품질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운영상에서 상시적으로 도출돼야 한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