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서울은 상승세를 지속하며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전국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포함)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7% 떨어졌다.
지난해 6월 0.04% 오르며 상승 전환한 이후 6개월 동안 이어진 상승세가 꺾인 것이다.
같은 기간 서울은 0.08% 올랐다. 단 상승폭은 전월(0.20%)보다 줄었다.
수도권은 보합(0.00%)을 나타냈으며 지방은 전월(-0.09%)보다 낙폭을 키우며 0.14% 내렸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내 주거 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국지적인 상승세가 관측되나 계절적 비수기에 대출 규제 영향으로 시장 관망 추이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전국 아파트값도 0.11% 내리며 하락으로 돌아섰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0.09% 상승했으나 수도권(-0.02%), 지방(-0.21%)에선 떨어졌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0.01%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전월(0.09%)보다는 오름폭이 작아졌다. 지난해 8월 0.22%→9월 0.19%→10월 0.16%→11월 0.09% 등으로 매월 상승폭이 축소되고 있다.
지역별로 서울(0.15%→0.02%)과 수도권(0.19%→0.03%) 모두 전월 대비 상승폭이 축소된 가운데 지방(0.01%→-0.01%)은 하락 전환했다.
수도권에서 경기는 0.06% 오르고 인천은 0.08% 떨어졌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전셋값은 전국(0.02%), 서울(0.03%), 수도권(0.05%)에서 모두 상승했다. 하지만 지방에선 보합(0.00%)을 나타냈다.
전국 주택 월세가격지수는 0.10% 상승했다. 전월보다 0.02%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서울(0.18%→0.10%)과 수도권(0.21%→0.15%) 모두 상승했으나 오름폭이 줄었다. 반면 지방(0.03%→0.05%)은 상승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은 학군지 등 주거 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와 중소형 규모 위주로 월세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