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물리적 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
AI 모델 훈련 중요해짐에 따라 시장 장악할 듯
|
9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최신 조사에 따르면 AI 훈련 및 AIGC(생성형 AI 콘텐츠) 솔루션을 포함한 로봇용 글로벌 LLM 시장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48.2%에 이를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장은 2028년 1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이 예상된다.
이같은 시장의 확장은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의 발전과 이를 가정 환경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AI 모델 훈련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트렌드포스는 전했다.
특히 트렌드포스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선보인 코스모스(Cosmos)를 주목했다. 코스모스가 글로벌 로봇 LLM 시장에서 핵심동력이 될 것이라고 봤다.
물리적 AI는 물리적 세계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술과 시스템을 가리킨다. 로봇, 자율주행, 드론, 스마트 기기 등 실제 환경에서 활동하는 AI 기반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상 세계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실제 행동에 옮기고 물리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코스모스는 이러한 물리적 AI가 현실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다. 로봇 개발과도 밀접하게 연관됐다. 이를 통해 비용 절감, 프로세스 간소화, 맞춤형 훈련, 현실감 있는 상호작용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코스모스 플랫폼은 로보틱스와 자율주행 차량 등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 시스템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개방형 라이센스를 제공해 기술 개발 진입장벽을 낮출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미 1X, 어질리티 로보틱스, 샤오펑, 우버, 와비 등의 기업들이 코스모스를 채택해 모델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황 CEO는 CES 2025 기조연설에서 "로봇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지만 모든 개발자나 전문가들이 로봇 개발에 필요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코스모스 플랫폼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