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수익성, NIM 하락 추세 지속…대손비용 감소 등 올해 수준 유지"
|
30일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먼저 금융산업 수익성에 대해 은행업은 순이자마진(NIM)의 소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증권업·자산운용업은 채권으로의 자금 유입 등에 따라 개선되고, 카드업의 경우 여전채 금리 하락에 따른 조달 비용 부담이 감소하면서 수익성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캐피탈·저축은행·부동산신탁업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 지연에 따른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규제 측면에서는 △가계대출 관리 지속 △부동산PF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부채(Debt) 측면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봤다. 자본(Equity) 측면 규제는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 △ISA 관련 세법 개정 등으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대해 연구소는 자본시장 성장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 강조했다.
기업의 경우 금리 하락으로 대출에서 벗어나 회사채 발행 등 자본시장 활용(Equity)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업의 대출 성장은 코로나19 이후 지속 성장해왔으나, 내년에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대출 성장을 견인했던 가계와 대기업 부문은 가계대출 관리 지속, 직접금융시장 수요 증가 등으로 소폭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금리 고점 인식에 따른 수요로 증가했던 정기예금은 금리 하락 본격화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투자 대기자금과 단기자금 수요가 늘면서 저원가성 예금으로의 자금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수영 연구위원은 "NIM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대출 성장 둔화에 따라 이자이익이 감소하는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면서도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 개선, 신용위험 완화에 따른 대손비용 감소 등으로 은행업의 수익성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업은 금리 하락에 따라 국내외 주식투자, 채권운용, 회사채 발행여건이 개선돼 실적 회복이 기대됐다. 다만 부동산PF 시장 부진이 지속됨에 따라 완연한 회복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산운용업은 실물대체투자 부진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금리 하락 기대로 채권형 및 해외 ETF 등 전통적 펀드와 일임자산 중심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봤다.
생명보험업은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증가로 보험사의 자본 부담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종자본증권 △후순위채 등 자본성증권 발행 등 자본확충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손해보험업은 CSM(보험서비스계약 마진) 확보가 용이한 장기보험 중심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핀테크 기업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생명보험업에서는 인구 고령화로 인해 시니어 관련 사업이, 손해보험업은 치매, 간병, 유병자 등 시니어 대상 상품이 신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용카드업의 수익성은 여전채 조달비용 부담이 다소 감소하면서 개선이 기대되나 적격비용 재산정에 따른 하방 압력도 존재한다고 봤다. 카드론 등 금융부문에 대한 수익 의존도 심화는 지속되나 총량 규제 도입시에는 성장성이 추가로 제약될 것을 우려했다. 반면 캐피탈업은 차량구매 수요가 당분간 위축되면서 리스·할부 성장세가 하락하고, 부실채권 정리에 따른 수익성 하방 압력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금융업의 성장성이 한계에 다다르고,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PF 해결 지연 등으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태에서 비용 절감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망분리 완화 정책이 추진되고 혁신금융서비스를 통한 외부 AI 모델 도입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AI를 통한 생산성 증대와 금융 서비스 혁신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밸류업의 영향은 기존 금융지주회사와 은행에서 증권사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았다. 주주환원 방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뿐만 아니라 수익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상진 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의 밸류업 드라이브로 금융회사는 적극적인 수익성 제고 방안을 요구받을 수 있기에 VC·PE 투자, M&A 등의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