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통 이미지 벗고 협치모드 선회
대통령실 "현장방문 등 늘릴 것"
|
원리와 원칙을 내세운 국정 드라이브는 역대 정부가 손대지 못했던 건폭(건설 현장 폭력행위), 화물연대 개혁, 사교육 카르텔 혁파 등의 성과로 이어졌다. 아직 미완성이지만 의과대학 증원을 비롯한 의료개혁 역시 첫발을 뗐다.
하지만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한 달 간 70개국(양자 다자회담) 이상을 만난 외교사적 신기록을 세우고, 22차례의 민생토론회 참석을 위해 약 5000km를 이동한 '열심'이 모두 민심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은 이번 총선 결과로 분명히 드러났다.
남은 3년 윤 대통령이 내건 노동·연금·교육 등 3대 개혁과 의료개혁 등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소통과 공감의 정치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윤 대통령은 정진석 비서실장과 홍철호 정무수석 기용으로 변화의 의지를 발신했다.
정 실장과 홍 수석을 참모로 맞이한 대통령실은 '일방통행' '불통'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협치' '소통' 모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정 실장과 홍 수석의 첫 작품은 지난 달 29일 윤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열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회담이다.
이 대표가 윤 대통령과의 회담 이후 "답답하고 아쉬웠다"고 언급하며 회담 무용론이 나오기도 했지만, 회담 이틀 후 여야가 이태원 특별법 수정에 합의해 의결한 것은 분명한 성과다. 윤 대통령이 일부 독소조항을 없앤다면 무조건 반대는 아니라는 뜻을 밝혔고, 이에 야당이 화답해 이태원 특별법이 통화되면서 '협치'의 청신호가 켜졌다.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끝으로 열리지 않았던 기자회견 개최도 2주년 직전인 9일 이뤄질 예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언론과 접점을 넓히는 것을 비롯해 현장 방문 등 민생 소통 행보를 앞으로 더욱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공약 번복이라는 비판을 감수하고 민정수석실을 부활시키는 것 역시 민심을 더 세심히 들여다 보기 위한 행보다.
윤 대통령은 정치 입문 때부터 사정 기관 장악, 민간인 사찰 등 민정수석의 역기능을 지적하며 폐지를 추진했고 실제 지난 2년간 민정수석을 두지 않았지만, 지난 7일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을 민정수석으로 임명했다. 윤 대통령은 7일 대통령실에서 민정수석 인선을 직접 발표하며 "국민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