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4~7억원 매출 올리지만
일부 프랜차이즈선 광고비 전가
수수료·고정비용에 수익도 악화
◇"가맹본부의 '경영철학'이 중요"
27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치킨업계 빅3의 2022년 점포당 평균 매출은 교촌치킨(7억 4904만원), BHC(5억 9759만원), BBQ(4억 3258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3.3㎡(1평) 당 평균 매출도 교촌치킨(3491만원), BHC(3040만원), BBQ(2964만원) 등의 순이다. 평균적으로 보면 가맹점주들은 1억원대의 초기 비용을 투자했고, 이후 5억원대의 연평균 매출을 기록했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치킨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한모 사장은 "프랜차이즈의 경우 대체적으로 연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온다. 그러나 가맹본부가 가맹점주들에게 거둬들이는 비용 등을 생각해야 한다. 소위 업계 빅3에 속했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도 아니고, 빅 3가 아니라고 해서 무조건 안 좋은 것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피해야 할 부분도 있다. 가맹점주들의 관리에 소홀하면서도 비용을 전가하는 경우가 그 중 한가지다. 소위 '가맹점 쥐어짜기'로 인해 가맹점주들이 계약을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엔 광고비를 사실상 전가하거나, 집기 등을 지정한 제품만 써야 해서 부담스러워 하는 가맹점주도 있다.
공정위가 발표한 '2023년 가맹분야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맹본부의 구입강제가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가 치킨으로 나타났다. 치킨업종의 경우 응답자 중 33.9%가 구입강제를 강요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입강제 강요를 받은 경험이 있는 가맹점주 중 요구거부로 인한 불이익을 경험한 가맹점주는 85.1%로 나타났는데, 이후 가맹점주들은 △불이익 경고 △매장점검 △계약해지 통보 △원·부재료 공급 중단 등으로 불이익을 경험했다. 일부에선 가맹점이 영업시간을 지키지 못할 경우 식자재 물류 공급이 끊길 수도 있다.
배달 문제도 골칫거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후 배달 주문이 급증하면 배달 플랫폼에 지출하는 비용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어서다. 치킨 가격 인상의 주범으로 '배달비'가 첫 손가락에 꼽히고 있으며, 가맹본부·가맹점주 간 주요 분쟁 원인 중 한 가지이기도 하다. 치킨 브랜드들이 제품가를 순차적으로 인상한 후 배달비 등을 더하면 '3만원'으로 뛰어 오르다 보니, 일부에선 피자 등으로 업종을 바꾸기도 한다.
◇5억원 매출...허수도 있을 수 있다
임대료·인건비 등 고정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빅 3의 평균 매출(5억 9307만원) 중 임대료·인건비 등을 제외해야 순이익으로 남는다. 반면 고정비에 못 미치는 매출이 발생되면 적자가 발생된다. 코로나19 사태가 심할 때엔 문을 닫는 가맹점이 발생됐다. 퇴직 후 가맹점을 오픈한 가맹점주일 경우 노후 문제로 번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가맹본부의 가맹점주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어려운 가맹점과 달리 일부 가맹본부의 경우 수익률이 오른 경우가 있다. 현재 경제 환경이 어려운 만큼 가맹본부가 수수료를 낮추는 등 가맹점주들을 위한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