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실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지도부가 이걸 다 내팽개치고 뭉개고 끝냈으면 혁신위도 바로 반응을 해서 혁신위의 결과에 결과된 입장을 모아서 혁신위 해체하고 김기현 대표 체제에 대한 단호한 쓴소리를 마지막 희생안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저는 정리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아니, 우리(혁신위)가 열심히 했는데 지도부가 안 받았다. 그만둘게. 이 모습하고 우리(지도부)가 민심을 반영하고 여론을 반영해서 국민 목소리를 전달했는데 혁신위가 안 받았다. 이러면 안 된다"며 "'당 지도부가 이렇게 이렇게 해야 된다'라는 최후의 요구조건을 발표를 하고 저는 끝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논개적 요구를 해야 한다"며 "(혁신위가 재촉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그게 말이 안 되는 게 김기현 대표 측에서 말하는 게 두 가지 논리로 변명을 한다"며 "이 입장에 대해서 가타부타 개인적인 결단의 문제를 어떻게 최고위에서 결정하느냐. 그런데 이게 잘못된 게 사퇴하라는 것도 아니고 불출마나 험지 출마를 개인적으로 밝히라는 게 아니잖느냐. 그런 내용의 중진과 친윤 지도부에 대한 희생 요구안에 대해서 최고위에서 그거에 전향적으로 화답하는 메시지를 내면 된다"고 지적했다.
김 전 실장은 "원희룡 장관이 지난번에 만나서 뭐 했느냐? 인천 계양을 이야기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당이 요구한다면, 당이 필요로 한다면 어떤 희생도 각오하겠다, (지도부가) 이 말 한마디 못 하느냐"고 꼬집었다.
그는 또 "그러니까 그걸 안 하면서 왜 자꾸 결단을 강요하느냐고 그러는데 결단 강요의 마지막 선택은 그래, 그 말이 맞다. 이 패를 먼저 깔 수 없다는데 누가 패를 까라는 것이냐"며 "그냥 혁신위의 권고가 정말 민심을 반영한 우리 혁신의 큰 중요한 요구사항이니 우리 당 지도부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 당이 요구한다면 모든 걸 다 선당후사 하겠다는 말을 왜 못 하냐"고 따져 물었다.
김 전 실장은 "김기현 대표 입장에서는 어디 험지를 정하거나 불출마를 지금 당장 할 필요도 없다"면서도 "뭐냐 하면 울산에는 나가지 않겠다. 이 한마디를 할 수 있는 거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