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지훈 고신대 가정의학과(제1저자), 신동욱 성균관대 가정의학과·박진성 을지대 비뇨의학과 박진성 교수(공동 교신저자)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007~2013년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5만1252명의 환자와 연령기준을 맞춰 암 병력이 없는 20만9659명의 대조군을 추출해 전체 치매 위험도와 알츠하이머 치매 및 혈관성 치매 위험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전립선암 환자군은 대조군 대비 전체 치매 위험도는 차이가 없었다.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11% 낮았다. 하지만 적극적 추적관찰, 수술, 수술+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방사선+호르몬치료, 호르몬치료 등 일차 치료 방법에 따른 치매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수술만 받은 환자의 치매·알츠하이머 치매 및 혈관성 치매의 위험도가 대조군 보다 낮았다.
반면 호르몬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치매 및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도가 높았다. 수술+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방사선+호르몬치료 등을 받은 경우 대조군과 치매 위험도에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호르몬 억제요법이 남성호르몬의 신경 보호 작용을 저하시키고 동맥경화 촉진을 통해 치매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호르몬 억제요법을 받은 고령의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치매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 인지기능 훈련, 적극적인 혈압·혈당·고지혈증 등의 관리를 통한 치매 예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립선암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일차 치료 방법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신동욱 성균관대 가정의학과(제1저자), 박진성 을지대 비뇨의학과(교신저자)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007~2013년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4만8298명의 환자들과 연령기준을 맞춰 암 병력이 없는 20만480명의 대조군을 추출해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전립선암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허혈성 심질환 및 뇌졸중의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낮았다. 수술받은 환자의 경우 적극적 추적관찰, 수술, 수술+호르몬치료, 방사선+호르몬치료, 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등 다른 일차 치료 방법과 비교했을 때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약 30%나 낮았다. 이는 전립선 특이항원(PSA) 검사를 받다가 조기 발견된 선별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호르몬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들은 적극적 추적관찰을 시행한 환자들보다 뇌졸중 위험도가 16% 더 높았다. 허혈성 심질환 위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억제요법을 받는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혈압·고지혈증 등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팀은 봤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국민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이용해 한국인 전립선암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며 “일차 치료 방법에 따라 그 위험도가 다르다는 것이 규명된 만큼 향후 전립선암 치료 방법에 따른 심혈관질환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