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은행은 ‘시장가 매각, 신속 매각 원칙’을 적용해 2011년 1월 인수가격 3조 2000억원의 절반에 불과한 자금을 회수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미루기보다는 손실을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자평한 것 같다. 그러나 중추적인 국책 금융기관이라면 기업의 가치와 일자리의 가치, 글로벌 경쟁력의 가치를 국가경제 차원에서 보다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치열한 경쟁과 급변하는 산업구조의 흐름 속에서 기업 하나 창업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유지하고 발전하기란 더 어렵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얼마나 다양한 정책 지원을 해 왔던가? 물론 대우건설이 매각된다고 해서 글로벌 경쟁력을 모두 상실한다는 주장은 아니다.
다만 매각을 서두르기 전에 기업의 가치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우선돼야 한다. 산업은행이 건설산업에 전문성이 없지만 국가경제적 차원의 관점과 의지가 있다면 전문 경영인을 통해 대우건설의 경영 정상화를 지휘 감독하면 된다. 대우건설은 워크아웃,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매각, 산업은행의 인수 과정을 겪으면서 비록 수익성은 저하됐을지라도 국내외 건축, 토목, 플랜트 분야 종합건설업체로서의 기업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력이 있다.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는 일자리 창출이다. 대우건설의 종사자는 6000여명에 이른다. 만일 졸속 매각이 강행될 경우 이들의 고용 불안정과 업무 집중도 약화는 명약관화하다. 내부 혁신으로 종사자들의 자부심과 업무 역량을 최대한 강화한 이후로 매각 시점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자리 악영향은 대우건설만이 아니라 관련 협력업체들에도 당연히 파급된다. 인수기업이 경영 혁신으로 오히려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도 있지만 인수기업이 수익성 창출은 도모할지언정 고용 유지와 신규 일자리 창출은 우선적인 관심사가 아니다.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해외 건설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란 매우 어렵다. 전문 기술력과 실적은 물론 현지 네트워크, 제3국 인력 관리와 글로벌 공급망 활용 시스템과 역량 등 장기간에 축적된 사업수행 자산이 가격 경쟁력과 효과적인 조합을 이루어야 한다. 현 정부에서는 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를 설립해 해외 개발 사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관건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었거나 갖출만한 기업의 육성이다. 산업은행의 조급한 매각은 대우건설의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해외 시장 진출 확대 속도를 상당히 늦출 것이다.
산업은행이 대우건설의 대주주 역할을 마냥 지속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국가경제 차원에서 기업과 일자리와 글로벌 경쟁력의 가치를 고려한다면 손실 최소화의 이해타산에 몰두하기보다는 전문 경영인 체제의 혁신으로 경영 정상화의 책임을 더 중대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