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 바이오 대전환”… 국가바이오위 출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23010012917

글자크기

닫기

이하은 기자

승인 : 2025. 01. 23. 18:11

인프라·R&D 대전환 목표·방안 발표
K바이오클러스터 구축·기술융합 통한 혁신 가속화
최 권한대행,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열린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상엽 KAIST 연구부총장, 최 권한대행,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바이오 분야에서의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타 분야와의 기술 융합을 통한 혁신 가속화 등 바이오 인프라 및 연구·개발(R&D) 개선 방안을 내놨다.

23일 범부처 합동으로 출범한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을 위해 인프라, R&D 혁신 등의 측면에서 핵심 과제를 도출해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출범한 위원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식약처, 질병청 등이 참여하는 범부처 기구로, 이들 바이오 관계부처의 장관과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및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 12명이 당연직 정부위원으로 나선다. 민간위원으로는 부위원장으로 위촉된 이상엽 카이스트 교수를 포함해 24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위원회는 바이오 분야 범부처 최상위 거버넌스로서 국가 전체를 아우르는 시각에서 R&D, 산업 진흥, 규제 혁신 등 개별 부처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보건·의료·식량·자원·해양·에너지·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간 영역을 하나로 결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인프라 대전환: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정부는 우선 전국 20여 개의 바이오 분야 클러스터 간 협력이 미흡하고 기술 발전보다 규제 개선이 느린 점, 바이오 산업 인력도 부족한 점 등을 문제로 진단하고 바이오 인프라 대전환을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일단 바이오 분야 전주기 혁신을 위해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전국 20여 개 바이오 클러스터 각각의 특·장점 및 발전 가능성 등을 분석해 혁신 전략을 올해 상반기 중에 마련하겠다고 했다. 전국의 첨단의료복합단지·연구개발특구·산업단지 등을 연계해 다양한 분야 간 융합을 촉진하고, 대학·연구소·기업·병원 등 핵심 기관들을 유치해 R&D부터 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 산하 '바이오 클러스터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20여 개 클러스터를 연결하는 '버츄얼 플랫폼' 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연구장비, 실험실, 사무공간, 창업지원, 컨설팅 등 유무형의 인프라을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해외 유수 클러스터와의 교류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오 분야 일자리 창출과 규제 혁신에도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11만 명의 산업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바이오 산업의 혁신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바이오 규제혁신과 바이오 안보 강화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중심으로 규제개혁위원회,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등과 협력해 전 주기 규제를 개편하겠다고 했다.

◇R&D 대전환: 기술융합·데이터 기반 패러다임 전환·투자체질 개선
R&D와 관련해서는 독자적인 원천기술 확보와 바이오 데이터 생태계가 아직 초기 단계라고 정부는 판단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파급해 혁신을 가속화하고 데이터 기반 R&D로의 패러다임 전환, R&D 투자 체질개선을 통해 바이오 기술 주권을 확립하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바이오 기술과 타 분야의 기술 융합으로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인공지능(AI) 기반 기술로 시간·비용 등을 기존 대비 절반 가량으로 단축하고, 공공 바이오 파운드리를 구축해 분야별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부는 또 데이터 기반으로 바이오 R&D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중심으로 바이오데이터의 협업체계를 재편해 데이터 연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정부, 공공연구기관, 병원, 해외 등에 산재된 데이터의 연계를 강화해 오는 2035년까지 국가 바이오 데이터 플랫폼에 1000만 건의 데이터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바이오 전용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도 확충해 고용량 데이터와 대규모 데이터 연구 수행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바이오 R&D 추진체계를 혁신하고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핵심 범용·기반 기술 자립화를 위해 집중적인 투자를 진행한다는 방침도 내놨다. 파급효과가 큰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확대해 R&D 전략성을 제고하고, 국가바이오위원회 중심으로 민·관 역량이 총 결집된 원팀 협업체계를 구축해 범부처, 민관, 공공기관, 글로벌 협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기술국 대비 생명·보건·의료 분야 85%, 농림수산식품 분야 90% 수준까지 기술 격차를 줄여 나가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과기부 관계자는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산하 분과위원회 및 특별위원회 등 논의를 통해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과제를 조속히 확정하고 그 이행 현황과 성과를 점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