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정부는 경증 의심 환자의 경우 동네 병의원을 먼저 찾아달라고 홍보하고, 응급의료기관에서 감기나 설사 같은 경증·비응급 상황의 환자를 수용하지 않거나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진료를 거부해도 의료진은 책임을 면할 수 있게 하면서 응급실 과밀화를 막고 있다.
17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연휴 기간 전국 응급실 409곳 중 2곳(충북 충주 건국대충주병원·경기 용인 명주병원)을 뺀 총 407곳이 매일 24시간 운영한다. 추석 당일인 이날 문을 연 병의원은 1785곳이다.
진료 가능한 응급실과 병의원 목록은 응급의료포털(e-gen) 홈페이지나 129, 120 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나 각 지도 앱(애플리케이션)에서도 문을 연 의료기관 정보가 나온다.
경증인 경우 동네 병의원에서 진료받으면 되지만, 증상이 심각하거나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119로 신고해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상담을 통해 동네 병의원에 가야 하는지, 119 구급대를 불러야 하는지 안내받을 수 있다.
호흡곤란이나 갑작스러운 팔다리 저림, 혀가 마비되어 말을 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현장의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진도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는 데 온 힘을 쏟고 있지만, 일부 환자들이 치료받을 의료기관을 찾으러 전전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4일 충북 청주에서는 25주차 임신부가 양수가 새어 119에 신고했지만 병원을 찾지 못한 채 6시간을 구급차 등에서 대기하다 겨우 치료받았다.
지난 15일 광주에서 발생한 손가락 절단 환자는 사고 발생 2시간 만에 멀리 떨어진 전주 수병원으로 이송해 수술받았다. 당시 광주지역 대학병원들과 종합병원 등은 접합수술을 할 수 있는 의사가 다른 수술 중이거나 휴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소식이 잇따르다 보니 위급 상황 발생시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게 아닌지를 우려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이 적지 않다.
경증 환자의 응급실 본인부담금이 대폭 인상되면서 경증·중증을 어떻게 환자 스스로 구분하느냐에 대한 볼멘소리도 크다.
정부는 지난 13일부터 경증 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대형병원 응급실에 갈 경우 본인부담금을 기존 50∼60% 수준에서 90%로 인상한 바 있다.
현재 의료계도 정부와 마찬가지로 경증·비응급 환자의 응급실 방문을 자제해 달라고 거듭 호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