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동·산본에 4만가구 추가 공급…1기 신도시 재건축 밑그림 공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814010007526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4. 08. 14. 06:00

중동·산본 시작으로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순차 발표
영구주택 재건축, 이주주택 활용 후 분양 검토
이주금융 지원 등 이주수요 관리 철저
경기 부천시 중동·상동 일대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경기 부천시 중동신도시 일대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경기 부천 중동·군포 산본 신도시에 각각 2만4000가구, 1만6000가구 규모의 주택이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14일 국토교통부, 부천시, 군포시 등에 따르면 부천시와 군포시는 이날부터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중동·산본 신도시의 기본계획(안)을 공개하고 주민공람을 시작한다.

이는 전날 열린 국토부·경기도·1기 신도시 지자체 상설 협의체 회의에서 공유된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방침(안)에 따른 것이다.

부천·군포시는 다음 달 지방의회 의견을 조회한 후, 오는 12월 노후계획도시정비 지방위원회 심의 및 국토부 협의·경기도 승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중동 신도시는 '미래를 닮는 새로움을 담는 중동'을 콘셉트로 정비된다. 현재 평균 용적률(216%)보다 134%포인트(p) 상승한 350%의 기준 용적률을 적용 받을 전망이다. 이는 계획인구에 따른 인구증가를 수용하고, 쾌적한 정주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개발밀도를 의미한다. 2만4000가구를 추가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산본 신도시에도 '양질의 주거공간과 자족 인프라 확충으로 재창조되는 RISE-UP 산본' 콘셉트가 적용된다. 기준 용적률은 현재 평균 용적률(207%)대비 123%p 오른 330% 수준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1만6000가구의 주택을 확충할 수 있는 수치다.

안양시는 이달 말 평촌 신도시 기본계획을 공개한다. 성남·고양시도 분당·일산 신도시에 대한 기본계획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 자리에서 '선(先) 공급확대·후(後) 이주수요 관리' 원칙 아래 질서 있는 주민 이주를 위한 정책방향도 제시했다. 지난 6~7월 실시된 1기 신도시 이주대책 수립방향 설문조사에서 주민 83.3%가 해당 지자체 권역 소재 이주주택에 거주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된 데 따른 것이다.

정부 계획대로 1기 신도시 정비가 진행되면 올해 11월 선정되는 선도지구 최대 3만9000가구를 시작으로 2027년부터 10년간 해마다 2만∼3만가구의 이주 수요가 생긴다.

국토부는 지역 안팎의 유휴 부지를 확보해 이주주택을 짓고, 인근 공공택지 물량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처럼 이주주택으로 활용한 이후 리모델링해 분양하는 사업 모델이 거론된다.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는 1988년 서울올림픽 때 180일가량 선수단 등의 숙소로 쓰인 뒤 리모델링 후 분양됐다. 1기 신도시 이주주택의 경우 거주 기간이 2∼3년 이상으로 더 길겠지만, 비슷한 방식을 고려한다는 것이다.

영구임대주택 재건축을 통한 이주대책도 추진한다. 지역별로 △산본 3개 단지 3만4000가구 △일산 3개 단지 2만3000가구 △중동 2개 단지 1만9000가구 △평촌 1개 단지 9000가구 △분당 4개 단지 5800가구등 총 1만4000가구다.

아울러 이주금융도 지원하기로 했다. 사업단계별 맞춤형 보증상품을 만들고, 이주지원 리츠를 통해 이주비와 이주공간 대여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특히 이주수요 대비 주택공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허용정비물량제도'를 활용해 이주수요를 관리하기로 했다.

허용정비물량은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은 실제 착공 물량이다. 지자체는 관리처분계획이 인가되는 해(1기 신도시는 2026년)부터 신도시 내외 관리처분계획 인가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새로 도입하는 분양전환형 신축매입 임대주택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매입하는 미분양주택을 이주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