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서울 종로구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계은행 디지털전환 신임 부총재 선임 관련 브리핑'에서 김상부 부총재는 "세계은행에서 디지털 부총재직을 신설하면서 여러 가지 많은 비전을 갖고 있는데, 지구에서의 빈곤을 퇴치하기 위한 목표를 갖고 여러 가지 이니셔티브들을 추진하고 있다"며 "그중에서 디지털이 굉장히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디지털을 통해 경제, 교육, 금융, 보건, 다양한 분야에서 조금 더 빠르고 저렴한 혁신을 이룸으로써 저개발국들이 더 빠르게 중위권 또는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툴이라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재는 현재 전 세계 인구 중의 약 27억 명은 여전히 인터넷에 접속을 못 하고 있으며, ITU(국제전기통신연합)의 2022년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81% 정도의 가구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됐음에도 아프리카에서는 약 7%, 중동 국가에서는 약 35%의 가구만이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한 '디지털 불평등'도 언급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굉장히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는데, 이번에 디지털 부총재직을 맡게 되면서 AI를 비롯한 여러 가지 디지털 화두들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과정 속에서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보안이나 개인정보 등 많은 이슈들의 해결책을 각 국 정부에 전파하며 전 세계에 디지털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부총재는 여러 정부와 각국 기업과 협력하게 될텐데 세계은행에서 부총재직에 오른 한국 국적의 한국인이 지금까지 없었던 만큼, 일을 추진하면서 특히 한국 정부 및 한국 기업과의 협업을 키워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굉장히 많은 디지털 개발의 역사와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가 한국인 국적자로서 세계은행 부총재에 선임된 것이라 생각한다"며 "한국 정부 대 외국 정부의 협력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이 참여해 파트너십을 이뤄야 영향력 있는 결과들을 낼 수 있는 만큼, 우리 기업의 의견과 도움을 받아 이 일을 진행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현재 AI 기술 패권과 디지털 패권이 특정 기업에 쏠려 있는 '기울어진 운동장'과 같은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질에 대해서는 "AI가 이렇게 앞서가는 과정 속에서 인터넷 접속조차 되지 않는 저소득 국가들에게 어떻게 AI 혜택을 누리도록 할 것인가는 굉장히 어려운 숙제"라고 화두를 던졌다.
그러면서 "우선적으로는 네트워크 커넥션을 늘리는 게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로 해야 될 일이지만, 저소득 국가들도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저소득 국가에서도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나 데이터센터 또는 디바이스들이 같이 개발돼야 한다고 생각하며, 저소득 국가에 맞는 기술개발도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총재는 또 "그런 측면에서 네트워크나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관심 가질 만한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저희 한국의 정부가 초기에 마중물을 제공해 기본적인 초기 수요를 확보해 주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며 "저희가 중위권 국가를 지원하는 IBRD(세계은행 산하 국제금융기구)나 하위권 국가를 지원하는 IDA(국제개발협회)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금융·재정을 지원해 저소득 국가들이 빨리 시장을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