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미흡·잦은 고장 탓 성장 더뎌
연구개발 확대·전문인력 양성 등 필수
"동물복지·부가가치 향상 도움될 것"
29일 아시아투데이가 주관하는 '스마트축산 확산 방안 모색' 정책포럼에서 정경석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과장은 '스마트축산 확산을 통한 축산업 혁신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스마트축산의 확산 전략에 관해 설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정 과장은 "글로벌 시장 규모가 연평균 10%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축산은 우리 축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현안들에 대한 해결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 과장은 "2014년부터 장비 보급을 지원해 왔지만 노동력 절감 등 단순자동화에 머물러 있고 스마트축산에 대한 낮은 이해도, 잦은 고장, 애프터서비스(A/S) 문제 등 제약요인으로 보급과 확산이 더딘 상황"이라고 우리 스마트축산이 현 상황에 대해 진단했다.
이어 "데이터 표준화, 관리 인프라 미흡으로 축산 ICT(정보통신기술) 활용이 저조하고, 협소한 국내시장 규모와 스마트축산 분야 업체의 영세성으로 산업 외연 확대에 한계가 있다"고 부연했다.
정 과장은 △축종별 스마트축산 우수모델 개발 및 고도화 △농업인 역량 제고, 농가 간 네트워크 구축 △축산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지원 △연구개발(R&D) 확대, 전문인력 양성 등 스마트축산 경쟁력 강화 △K-스마트축산 수출 활성화 △전담 기관 지정, 협의체 등 추진체계 구축을 스마트축산 확산 방안으로 언급했다.
그러면서 "스마트축산 확산을 위한 솔루션중심 패키지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종합 컨설팅팀 및 A/S팀을 구성해 스마트도입 농가를 지원해야 한다"며 "또한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수출 활성화 지원, 우수사례 발굴·홍보와 인공지능(AI) 경진대회 개최 등 기반 구축과 홍보 강화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두 번째 주제 발표에서는 함영화 애그리로보텍 대표가 '스마트축산장비 기술수준과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함 대표는 최근 축산업은 고령화에 따른 사육 농가 수 감소와 환경문제, 대체식품 논의 증가로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농업생산액이 전년 대비 1.0% 감소한 58조6310억원을 기록했다며 ICT 장비를 활용한 스마트축산 확산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스마트축산은 문제 진단 및 분석→생산량 예측→질병 및 이상 예측→적정 관리기준 예측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최적의 축산환경을 도출할 수 있다.
함 대표는 이 같은 데이터 중심의 축산업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국산화 비율이 높은 스마트 한우 장비에 이어 양돈 장비도 벤치마킹을 통해 국산화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산화 비율이 낮은 낙농 장비 역시 향후 로봇착유기 안정화와 함께 모듈을 국산화할 수 있도록 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사례로 보면 로봇착유기를 도입한 한 농가에선 일일 유생산량을 기존 2021㎏에서 2387㎏으로 늘릴 수 있었다. 우유 1㎏ 생산을 위한 배합사료량도 기존에는 0.36㎏가 소모됐으나 0.27㎏으로 줄어 농가의 생산성과 이익까지 확대됐다는 게 함 대표의 설명이다.
축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상황에서 스마트축산 확대가 로컬푸드 생산과 함께 동물복지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위생 안전도 높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함 대표는 "스마트축산은 데이터 모니터링과 함께 정확한 현황 분석으로 생산량과 질병 및 이상 요소를 진단해 키우는 축산 시스템"이라며 "향후엔 가공-유통단계에서 소비자를 위한 축산물 이력 정보까지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작지원: 2023년 FTA분야 교육홍보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