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표시등·배터리 저전압 등 작동 불능
시장 상인들, 설치 여부 자체도 알지 못해
|
11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화재알림설비는 전국 534개 시장에 5만7236개가 설치돼 있다. 2018년 중소벤처기업부가 화재 초기 진압 등 즉각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사업을 시작한 뒤 점포당 80만원, 총 350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됐다. 올해도 39억원이 배정됐으며, 국비 70%·지방비 30%의 비율로 각각 부담한다.
전통시장은 상대적으로 여러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 특히 노후화된 전기선으로 인한 화재 발생 빈도가 높다. 지금까지 발생한 시장 화재 중 약 46.4%를 차지할 정도다. 2016년 460억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대구 서문시장 화재 사건도 그 중 하나다. 이곳은 100여년간 여러 차례 크고 작은 화마와 싸워야 했다.
중기부에서 6년째 화재알림설비를 설치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었다. 해당 설비마다 제각각인 성능 때문이다. 화재 신호를 감지해야 하는 수신기에 '스위치 주의' '통신점검 이상' 등의 상태 표시가 돼 있었지만 점검 주체인 시장 측과 지자체 그 누구도 신경쓰지 않았다. 화재감지기의 배터리도 저전압 상태로 방치돼 있었다.
경기도 수원의 한 시장에서 20년째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새벽에 식자재를 정리하러 나왔는데 내부에서 연기가 새어 나오는 걸 발견했었던 적이 있었다"며 "휴대전화 알림도 오지도 않고 (화재알림설비가) 무용지물이라고 느꼈던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경기 성남시 모란시장 상인들은 화재알림설비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기름집을 운영하고 있는 B씨는 "기름과 불을 다루고 있어 화재 사고에 민감한 편인데도, 화재알림설비라는 게 있는 줄은 몰랐다"며 "잘 작동하기만 한다면 화재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전통시장 화재 예방 및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하면서 화재알림설비에 대한 화재 안전 성능·기술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무선 기반 화재알림설비의 기술기준을 마련하고, 기존에 설치한 설비는 인증제품으로 교체하도록 지침을 마련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통시장 내 화재알림설비에 대한 점검 등을 수시로 할 예정이지만, 교체는 예산이 한정돼 있어 직접 신청한 시장에 한해 확인 후 진행할 예정"이라며 "중기부, 소상공인진흥공단과 함께 추후 유지 및 보수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