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 6개월간 집·일자리 체험기회 제공
지난해 도시민 649가구 중 11.2% 이주
"특화마을 등 도입해 안정적 정착 유도"
#B씨는 30년간 직업 군인생활 전역 후 귀촌을 결심하고 농정원, 국방전직교육원의 ‘귀농‧귀촌 심화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했다. 또한 시행 착오 최소화를 위해 평소 관심을 갖고 있던 충남 지역 농촌에서 살아보기에도 참여한 B씨는 참가기간 동안 귀촌 계획을 구체화하고, 시설 관리 등 전직을 활용한 지역 일자리 탐색에 나서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이 예비 귀농·귀촌인들에게 안정적 정착을 위한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농촌에서 살아보기’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농촌에서 최장 6개월간 거주하며 일자리, 생활 등을 체험하고 지역주민과 교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1년 도입돼 운영 중이다.
이 사업 참가자에게는 마을에서 제공하는 숙소 뿐 아니라 마을이 직접 운영하는 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제공해 영농기술 교육, 지역 일자리 체험, 주민 교류 기회 등 혜택을 부여한다.
또한 참가자가 월 15일간의 필수 프로그램에 성실히 참여할 경우 월 30만원의 연수비를 제공하고 있다. 바꿔 말해 6개월간 최대 180만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운영마을에게도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비용,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있다.
이로 인해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의 호응도 또한 높다.
2021년 사업 첫해 ‘농촌에서 살아보기’에 전국 88개 시군의 104개 마을에서 동참했으며, 도시민 649가구에게 농촌 생활 체험기회를 제공했다.
2021년 이 사업 참가자 500명, 운영마을 9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가자, 운영마을 각각 92.2%, 93.3%가 귀농·귀촌에 유익한 프로그램으로 평가했다.
여기에 더해 관심을 끄는 대목은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이 농촌으로의 이주를 이끄는 데 힘을 보태는 것으로 점이다.
일례로 2021년 이 사업에 참가한 도시민 649가구 중 73가구(11.2%)가 농촌으로 이주했다.
예비 귀농·귀촌인들이 실제 농촌으로 이주하고 정착하는 데 일정 부분에서 기여했다는 평가다. 2021년 귀농·귀촌 인구가 51만5434명, 귀농·귀촌 가구는 37만7744가구로 각각 전년 대비 4.2%, 5.6% 증가한 것에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농식품부가 올해 운영규모 확대, 테마별 특화마을 도입을 통해 체험 기회 다양화 및 참여 목적성 강화를 추진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와 관련 올해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 참여 시군은 95개로 지난해에 비해 7개 시군 늘었다.
운영마을도 119개 마을 선정해 우선 준비된 곳부터 사업을 개시한 상태이다.
이 결과 22일 기준 115개 마을에 532가구(714명)가 참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마을당 4.6가구(6.2명) 수준이다.
올해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 유형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귀농형, 귀촌형, 프로젝트참여형이지만 귀농형과 귀촌형에 특화마을을 도입한 점이 독특하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27일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경북 상주시 정양마을을 찾아 예비 귀농귀촌인, 운영자 및 마을주민과 간담회를 가졌다.
정 장관은 “최근에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농업에 대한 인식 변화로 귀농귀촌 인구가 2020년과 2021년 2년 연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앞으로 농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발전하고 농촌이 보다 활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귀농귀촌 정책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