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1만원 공약에 따라 최저임금은 2018년 16.4%, 2019년 10.9% 올랐는데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비용부담 증가, 일자리는 감소 등 부작용이 속출했고 이에 놀라 2020년 2.9%, 2021년엔 1.5%만 올렸다. 노동계가 1만원 관철을 벼르고 있어 사용자위원과 근로자위원 간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인데 결국은 정부 측 공익위원 손에 달린 셈이다.
최저임금은 많이 올리면 좋을 것 같지만 부작용도 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저임금이 14.7% 올라 1만원이 되면 무려 30만4000개의 일자리가 없어진다고 경고한다. 파이터치연구원의 한 연구원은 중기중앙회 토론회에서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오르면 일자리 55만2000개, 국내총생산(GDP) 73조2000억원이 날아갈 것이라는 충격적 발표를 하기도 했다.
이젠 구직자가 최저임금 인상을 반대하는 상황이 됐다. 중기중앙회가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48.1%가 동결을, 15.7%는 인하를 주장했다. 응답자의 64.3%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근로시간 단축을 경험했고, 80.0%는 최저임금이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며 우려할 정도다. 정부가 할 일은 임금인상(13.2%)이 아니라 일자리 확대(68.0%)라고 말한다.
획일적 인상도 개선돼야 한다. 미국은 주(州)마다, 캐나다는 지역별로, 일본은 지역·업종별로, 영국은 연령별로 다르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시급을 15달러로 올리려다 상원에서 제동을 걸자 연방정부 계약직원만 37% 인상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한국은 최저임금을 못 받는 사람도 15.6%나 된다. 합리적 수준에서 업종별로 인상 폭을 달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