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끔찍한 미얀마” 간호사·어린이 죽고 소수민족들 또 난민 내몰려

“끔찍한 미얀마” 간호사·어린이 죽고 소수민족들 또 난민 내몰려

기사승인 2021. 03. 30. 15:4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Myanmar <YONHAP NO-4017> (AP)
지난 29일 미얀마 군경의 총탄에 사망한 여성의 장례식에서 가족들이 애도하고 있는 모습. 쿠데타 사태 이후 최악의 유혈사태가 벌어진 지난 주말 미얀마에서는 169명의 시민들이 군경의 총탄에 목숨을 잃었고 이 가운데는 14명의 어린이 희생자도 포함됐다./제공=AP·연합
미얀마 사태가 악화하며 소수민족들마저 난민으로 내몰리고 있다. 최악의 유혈사태를 빚은 지난 26~27일 숨진 사망자 수도 점차 늘어나는 등 내전 발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30일 현지매체 미얀마나우는 쿠데타 이후 최악의 유혈사태가 발생한 지난 주말 숨을 거둔 것으로 확인된 사망자만 169명에 달하며 여기에는 어린이 희생자 14명도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미얀마 전역 50개 도시에서 사망한 시민 169명 가운데는 총에 맞은 다른 시위참가자를 돕다 머리에 조준 사격을 당해 숨진 간호사, “잘못이 없는 시위대에게 총을 쏠 수 없다”며 상부 명령에 불복하고 파업에 참가한 경찰과 11살 소녀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 양곤에서 시위에 참가하고 있는 대학생 A씨는 아시아투데이에 “현지에서 사망한 간호사가 지난달 공무원들에게 시민불복종운동(CDM)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연설 모습, 11살 소녀가 살아생전 좋아하던 장난감과 색칠공부 책에 둘러져 장례를 치르는 모습 등을 서로 공유하며 추모하고 있다. 모두들 슬픔을 금치 못하고 있다. 끔찍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A씨는 “시위에 나서고 있는 사람들의 분노도 깊어지고 있다. 일부는 우리(시위대)도 무장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얘기를 하지만 마땅한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군부 학살이 이어지자 반(反)쿠데타 거리 시위를 주도하고 있는 민족 총파업위원회(GCSN)는 전날 소수민족 무장 단체들에게 “소수민족 무장조직이 단결해 국민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도움을 요청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로이터통신은 GCSN이 카친독립군(KIA)의 정치조직인 카친독립기구(KIO)·카렌민족연합(KNU)·샨주복원협의회(RCSS) 등 16개 소수민족 무장조직에 서한을 보냈다고 전했다.

쿠데타 이후 사그라지지 않는 시민 저항과 군부가 대립하며 사태가 악화하고 있는데다 민주진영이 소수민족 무장단체의 손을 잡을 경우 내전이 발발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호주 그리피스 대학의 동남아 정치 전문가 리 모겐베서도 블룸버그통신에 “대규모 시위가 내전으로 흐를 가능성이 뚜렷하다”고 말했다.

북부 카렌주에서는 이미 소수민족 무장단체와 미얀마군이 충돌해 카렌족이 난민으로 내몰리는 상황에 처했다. 카렌민족연합(KNU)는 지난 28일 미얀마군의 공습으로 카렌주(州) 파푼 지역에서 1만명 이상의 카렌족 주민들이 대피했다고 밝혔다. 8000명가량은 인근 파푼의 숲속으로 피했고 약 3000명은 국경을 넘어 태국으로 피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가운데 ‘버마 캠페인 UK’ 등 미얀마 인권단체들은 태국으로 피신한 2000여명 카렌족이 미얀마로 되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비판 여론이 일자 태국 외교부 대변인과 접경지대 매홍손주 주지사 등은 “카렌족 난민을 미얀마로 되돌려 보냈다는 보도는 부정확하며 이들이 국경 부근에 머물고 있다”고 부인했다.

인도 마니푸르주 역시 미얀마 난민 유입을 막고 식량 제공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려 논란이 됐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인도 언론은 국경 지역 5개 지구 책임자들이 “(미얀마인) 중상자는 치료할 수 있지만 식량과 피신처 제공을 위한 캠프는 열지 말라”며 국경을 넘어 오는 이들을 정중하게 돌려보내란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미얀마 인근 국가인 태국과 인도는 미얀마 쿠데타 사태에 대해 ‘국내문제’라고 선을 긋고 규탄에 동참하지 않는 모양새다. 특히 인도의 경우 난민협약에 가입하지 않아 국제법상으로도 난민 보호에 대한 의무가 없어 접경지대로 내몰린 난민들의 인권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더욱 깊어지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