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정부는 가짜뉴스를 생산하고 유포한 자들을 끝까지 추적해 법적 조치를 가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혹여나 가짜뉴스로 정부에 대한 불신이 커져 국민들이 꼭 알아둬야 할 방역수칙이나, 확진자 현황 등을 믿지 못하게 될까 우려한 겁니다.
하지만 단순히 가짜뉴스 유포만을 잘못으로 여기기는 어려워보입니다. 코로나19 확산 추세를 보면 충분히 400명대, 500명대가 나올 정도로 급격한 데다가 거리두기 1.5단계 상향에도 확산세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확진자가 세 자릿수를 기록할 때부터 거리두기를 2단계로 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지만, 정부는 국민에 경각심을 갖고 방역을 해달라고 당부만 해왔지 선제적이고 강력한 조치는 하지 못했던 게 사실입니다. 확산세가 안정되자 마자 소비쿠폰을 뿌리는 등 방역보다는 내수경제 활성화에 방점을 둔 정책을 펼치기도 했죠. 이는 물론 코로나19로 막대한 피해를 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생각한 정책입니다. 그러나 최근의 상황을 볼 때 거리두기 상향조치를 늦췄다고 해서 경제적인 리스크를 줄였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방역정책이 다소 느슨하다는 데 불안감을 느낀 국민들 사이에서 각종 가짜뉴스가 생성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도 거리두기를 격상해 ‘굵고 확실하게’ 코로나를 잡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가짜뉴스가 나오고 있다는 것은 국민들이 그만큼 불안해 하고 있다는 것이고, 이는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둘러싼 근거 없는 소문이나 허위 사실이 곳곳에서 확산되고 있는 것은 국민의 불안감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가짜뉴스를 생산·유포 단속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공포심을 조장하는 이런 가짜뉴스가 생기게 된 원인도 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