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수령액 조정 방식 두고 입장차 여전
소득대체율 1%p 차이…여야, 최종 합의 불발
|
22일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열린 여·야·정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국회 승인을 전제로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자동조정장치는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연금개혁안에 포함된 핵심 내용 중 하나로, 기대 여명이 늘어나면 연금 지급액을 일부 조정하는 방식이다.
야당과 시민단체는 해당 장치가 연금 수령액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대해 왔다. 이에 대해 정부는 기존 연금 수령액을 삭감하는 것이 아니라, 인상 폭을 조정하는 개념이므로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되더라도 연금 수령액은 전년 대비 증가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여야는 소득대체율 조정 문제를 놓고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조정장치와 연계할 소득대체율에 대해 국민의힘은 43%, 민주당은 44%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조건부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대해서는 일부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소득대체율과 관련해 절충안을 제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