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내외 강경책 주도 이란 대통령 유고시, 국내외 정책 변화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520010009442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4. 05. 20. 10:22

라이시 이란 대통령, 개혁파 소외·반정부 시위 유혈탄압·핵프로그램 진전
외무장관, 무장단체 지도부 접촉, 중동 외교 깊이 관여
유고시, 국내외 정책 근본 변화 가능성 낮아
주요 정책 결정, 최고지도자 몫
IRAN-SECURITY/PRESIDENT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왼쪽)과 서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아제르바이잔-이란 국경인 이란 북서부 동아제르바이잔주 바르즈건 지역의 기즈 갈라시 댐 준공식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이란 대통령실·WANA·로이터·연합뉴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과 호세인 아미르압돌라히안 외무장관 등이 탄 헬기가 19일 오후 1시(현지시간)께 추락했다고 IRNA통신 등 이란 매체들이 보도했다.

라이시 대통령 일행은 이날 오전 이란 북서부 동아제르바이잔주에서 열린 기즈 갈라시 댐 준공식에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과 함께 참석한 뒤 타브리즈로 돌아오던 중 악천후와 짙은 안내 때문에 바르즈건 인근의 디즈마르 산악지대에 추락했다고 이란 내무부가 밝혔다.

라이시 대통령이 2021년 취임 후 국내외적으로 강경 정책을 추진해 왔고, 아미르압돌라히안 외무장관이 중동 내 외교에 깊이 관여해 온 것을 감안하면 이들의 유고가 이란 정부의 내외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라이시 대통령은 취임 이후 도덕법 강화를 지시하고, 반정부 시위에 대한 유혈 진압을 감독했으며 세계 강대국들과의 핵 협상에 대한 강경 입장을 유지해왔다고 로이터통신이 평가했다.
아울러 그는 권력을 공고히 하면서 서방과의 긴장 완화를 원하는 개혁파들을 소외시켰으며, 러시아·중국과 긴밀한 경제·안보 관계를 구축하는 '강력한 외교' 정책을 추구한다고 반복해 말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라이시 대통령 재임 기간 이란은 이스라엘과 중동 내 미군 기지 등에 대한 공격을 수행한 중동 전역의 대리 세력(proxy)들을 지원하고, 핵 프로그램을 진전시키면서 역내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했다고 NYT는 지적했다.

그는 국가 통치 성직자들에 반대해 거리에 나온 여성과 젊은이들이 다수인 시위대에 대한 대대적이고 치명적인 탄압을 지휘했는데, 인권 단체들은 수백명의 시위대가 국가보안군에 의해 살해됐다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유엔 인권이사회 조사단은 지난 8일 2022년 9월 히잡 사이로 머리카락이 보이는 등 복장 규정을 어겼다는 이유로 경찰에 끌려가 갑자기 숨져 '히잡 시위'의 도화선이 된 여성 마흐사 아미니의 사인이 구금 중 폭행이라며 "시위대 551명이 이란 군에 의해 사망했고, 여기에는 여성 49명, 어린이 68명이 포함된다. 대부분 사망자는 돌격 소총을 포함한 총에 맞아 숨졌다"고 밝힌 바 있다.

IRAN-POLITICS-PARLIAMENT-VOTE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10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의회 결선 선거 투표를 마친 후 가진 기자회견 중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AFP·연합뉴스
이러한 국내·외의 비판 속에서 라이시 대통령은 자신이 10대 때 신학을 배운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85)의 후임으로 부상했는데, 경쟁자 중에는 하메네이의 아들도 포함돼 있다고 NYT는 전했다.

아울러 아미르압돌라히안 외무장관은 최근 수개월 동안 카타르에서 팔레스타인 이슬라믹 지하드와 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에 대한 기습 공격을 주도한 무장정파 하마스 등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단체 지도자들을 만나는 등 역내 외교에 깊이 관여해왔다.

그는 또한 2월과 5월 오만에서 이란 핵 프로그램과 관련된 긴장 완화와 제재 완화를 논의하기 위해 미국과 비밀 간접 회담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렇게 이란의 국내·외 정책을 주도하는 라이시 대통령과 아미르압돌라히안 외무장관이 사망하면 이란의 정책에 일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성직자와 정부로 양분된 이란의 이중 정치체제에서 모든 주요 정책에 대한 의사 결정권을 하메네이가 가지고 있고, 대통령은 이 결정을 집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전망이다.

벨기에 브뤼셀의 분쟁 전문 싱크탱크 국제위기그룹(ICG)의 이란 분석가 알리 바에즈는 NYT에 "이번 사고가 이란이 국외에서 이익을 책정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예고하지 않는다"며 "비록 대통령을 포함한 주요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지만 외교 정책에 대한 전략적 결정을 내리는 것은 최고지도자"라고 강조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