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미사일 위협에 한·미·일 공동 대응능력 향상
항모강습단장 "위대한 동맹 한·일과 훈련해 기뻐"
|
노랑 조끼를 입은 승조원이 손을 들어 올리자 항공모함이 고막을 찢는 천둥소리를 내며 F/A-18 슈퍼 호넷 전투기를 비행갑판 밖으로 쏘아 올렸다. 시위를 떠난 화살처럼 달려나간 전투기는 허공에서 잠시 왼쪽으로 몸이 기우는 듯하더니 이내 자세를 바로잡고 큰 호를 그리며 하늘로 솟구쳤다.
불과 3초 만에 전투기가 떠나간 비행갑판은 '캐터펄트(catapult·사출장치)'가 만들어 낸 매캐한 연기와 수증기로 금새 뒤덮였다. 동시에 엄청난 열기와 몸이 휘청일 정도의 후폭풍이 멀찍이 떨어져 있던 취재진들을 덮쳤다. 취재진들이 비행갑판에 머물렀던 약 10분 간 5대가 넘는 전투기들이 흡사 발레리노처럼 움직이는 승조원들의 수신호에 맞춰 순식간에 항모를 박차고 날아올랐다.
이날 미국 해군은 제주 남방 수역에서 진행된 한·미·일 해상훈련을 이끈 시어도어 루즈벨트함(CVN-71·10만t급)을 세 나라의 취재진에게 공개했다. 미군이 한·미·일 훈련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략자산이자 '기함(旗艦)'인 핵항모를 언론에 공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
이처럼 항공모함에는 지상보다 턱없이 짧은 비행갑판으로 항공기를 이·착륙시키기 위해 탑승자에게 '특이한' 체험을 선사하는 장치들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 항공기를 항모 밖으로 '쏘는' 역할을 하는 캐터펄트도 마찬가지다.
루즈벨트함 관계자는 "캐터펄트는 멈춰있던 항공기를 3초 만에 시속 160마일(약 249㎞)로 달리게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탑승자는 지구 중력의 3배에 가까운 가속도를 체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
루즈벨트함과 같은 니미츠급 항모들은 통상 웬만한 나라 전체의 공군력과 맞먹는 90여 대의 함재기를 싣고 다녀 '떠다니는 군사기지'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루즈벨트함은 영화 '탑건: 매버릭'의 하이라이트인 이·착함 장면들이 촬영된 것으로도 자 알려졌다.
수송기에서 내려서 함내로 들어가는 도중에는 함재기에 장착될 공대공미사일로 보이는 무장들도 눈에 띄었다.
|
함장실에는 이 항모 이름의 주인이자 미국의 제26대 대통령인 시어도어 루즈벨트를 다룬 사진과 흉상들로 가득했다.
함장실 벽면의 장식장에는 루즈벨트 대통령을 모티프로 한 인형인 '테디 베어'도 놓여 있었다. 함장실에 설치된 TV는 한국의 LG 제품이었고 TV 아래에는 일본제 소니 사운드바가 구비되어 있었다.
|
재임 시절 군사력을 강조하며 강경한 대외정책을 펼쳤던 루즈벨트 대통령의 '빅 스틱(실력행사)' 외교 기조를 미국 대표 프로 스포츠는 물론 궁극의 전략자산인 핵항모와도 연관 지은 셈이다.
이날 루즈벨트함이 소속된 미 제9항모강습단의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단장(해군 준장)은 한미일 취재진과 만나 "이 지역의 위대한 동맹인 한국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와 함께 일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다만 알렉산더 단장은 이번 한미일 훈련이 북한·중국에 대한 경고메시지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이번 훈련은 공해상에서의 정례적인 작전이며 (사전에) 잘 조율된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이것(훈련)은 우리가 동맹국들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인데, 이는 위기의 시기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알렉산더 단장은 지속되는 북한의 핵 위협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생각을 묻자 "타 정부에 대한 메시지를 내는 것은 내 직급과 권한 밖의 일"이라며 정치적 해석에 대해서는 거듭 선을 그었다.
|
해군은 "이번 훈련은 2023년 8월 캠프 데이비드 합의에 따라 한·미·일 국방당국이 공동으로 수립한 다년간의 3자 훈련계획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며 "훈련은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 핵·미사일 위협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미·일의 공동 대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시행됐다"고 말했다.
훈련에 참가한 백준철 서애류성룡함장(대령)은 "이번 훈련은 3국 참가전력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WMD 위협 대응능력과 조난선박에 대한 인도적 지원능력을 높일 수 있는 아주 좋은 계기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