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국, 북한 사이버공격 대응 위해 국제사회 협조 요청...‘중국 협조’가 관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41221010012439

글자크기

닫기

김예진 기자

승인 : 2014. 12. 21. 16:17

2014122001002224400119571
영화 ‘더 인터뷰’ 포스터, 소니 픽처스 엔터테이먼트
미국 정부가 영화사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이하 소니) 해킹 사건의 배후로 지목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에 협조를 요청했다.

미국은 이번 소니 해킹 사건과 관련해 영국, 일본, 호주, 한국, 뉴질랜드 등 전통적인 우방국과 북한의 동맹국인 중국과 러시아에 공동 대응을 요청하는 협의를 시작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뉴욕타임스(NYT)가 20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는 미국 본토에서 처음으로 국가가 배후에 있는 대규모 해킹 행위가 발생함에 따라 미국 정부가 대응책을 마련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NYT는 분석했다.

이같은 미국 정부의 요청에 한국과 일본 등은 협력 의사를 밝혔으나 중국 정부는 아직 답변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NYT는 북한의 해킹을 저지하려면 중국 정부의 협조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해외 인터넷 접속을 대부분 중국 통신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막으려면 불가피하게 중국 통신망에 접근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중국의 주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소니를 겨냥한 해킹도 중국 통신망에 기반을 두고 싱가포르와 태국, 볼리비아 등 다른 국가 서버를 거쳐 이뤄졌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미국은 사이버 안보와 관련해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면서도 사이버 공간 내의 ‘통행 규칙’을 만드는 문제를 함께 논의할 기회를 찾고 있었다고 NYT는 보도했다.

그러나 지난 5월 미국 사법당국이 해킹 혐의로 중국군 관계자 5명을 기소·수배한 이후 사이버 범죄를 둘러싸고 양국의 갈등이 심해진 점을 고려할 때 중국이 협조에 응할지는 알 수 없다.

미국은 북한 해킹의 대응 수단으로 고강도 금융제재와 북한 주민들의 여론을 움직이기 위한 ‘정보 작전’, 군 시설과 컴퓨터 서버에 대한 사이버 보복 공격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북한의 추가 공격을 막기 위해 사이버 공간 버전의 ‘확산방지구상’(PSI)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NYT는 보도했다. PSI는 대량살상무기 운반이 의심되는 선박을 검색·차단하기 위한 국제 네트워크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의 인터넷 사용이 군과 일부 엘리트 계층에만 한정돼 있어 보복 공격이나 인터넷 차단과 같은 대응으로 북한에 타격을 입히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반면, 북한이 보복 공격에 나설 경우 인터넷 의존도가 높고 전력망이나 금융시장 등 취약 목표를 다수 보유한 미국의 위험부담이 클 수 있다.

북한 해킹 저지 논의에 관련된 미국 정부 관계자는 “우리는 유리로 된 거대한 집에 사는 것과 같아서 제약이 있다”며 “북한이 알아챌 수 있지만 보복에 나서지 않을 수준의 대응조치를 찾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김예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