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통사·제조사’ MVNO를 원하는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605568

글자크기

닫기

정성구 기자

승인 : 2012. 03. 05. 01:35

*[정성구의 유비쿼터스] MVNO의 살길은 최신 단말기 확보와 마케팅

[아시아투데이=정성구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휴대폰 요금 인하 방안으로 야심차게 추진 중인 가상이동망 사업자(MVNO) 서비스. 

방통위가 올 2월 기준으로 파악한 MVNO 가입자 수는 약 40만명으로 전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수 약 5200만명의 1%에도 못미칩니다.

정부와 업계가 MVNO 활성화를 위해 여러가지 대안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갈길은 멀어보입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업계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크게 △이통통신사업자(MNO)와 비교해 열세인 MVNO 사업 규모 및 사업 노하우 부족 △MVNO를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 미비 △MNO의 지원부족 등의 문제를 꼽습니다.

물론 다 맞는 말입니다. 이들 3박자가 어우러지지 않는다면 MVNO 서비스는 '빛좋은 개살구'에 그치고 말겠죠.    

최근 MVNO 사업자 관계자들에게 사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힘든 부분에 대해 물었습니다. 도매제공대가 현실화(현재 소비자 요금의 70%를 MNO에 지급), 롱텀에볼루션(LTE) 망 법률 제정, 데이터 도매매가 하향, 해외 로밍 서비스 제한 등을 지적했지만 가장 큰 문제는 단말기 수급과 마케팅 문제였습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MNO들이 MVNO 사업초기 일정량의 중고단말기를 지원하긴 하지만 대부분 2년 이상 지난, 한마디로 '한물 간 폰'들이죠. 이 마저도 수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MVNO 대리점단에서 자체적으로 단말기를 확보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총 18개의 MVNO 사업자 중 CJ헬로비전, KT 파워텔 등 대기업 계열사들의 경우는 상황이 좀 나은 편입니다. CJ헬로비전의 경우 올 1월 MVNO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갤럭시S2', '베가 레이서' 등 최신 스마트폰을 다수 확보했습니다. 내막은 알 수 없지만 후발 사업자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셈이죠. 

얼마 전 한 제조자 관계자에게 MVNO 전용 스마트폰 제작 계획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사업자 당 10만명도 안되는 가입자들을 위해 별도의 스마트폰 제작은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그나마 5월 부터 시행되는 이동전화 식별번호(IMEI)제도 즉,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상황은 좀 나아지겠죠. 고가 스마트폰을 구입할 여력이 없는 소비자들이 중저가 스마트폰을 구입해 MVNO 서비스에 직접 가입하면 되니까요. 

또 한 가지 MVNO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부족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방통위는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 대국민 홍보 캠페인을 추진하고 통신사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 제공을 강화해 나갈 방침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방통위의 대국민 홍보 캠페인은 찾아볼 수 없고, 이통사 홈페이지에서도 MVNO 관련 정보들은 전무한 상황입니다.    
 
방통위는 대부분의 MVNO 사업자들이 서비스 중인 선불 요금제 활성화로 선불 요금제 가입자가 전체 가입자의 5%로 증가할 경우 연간 1076억원의 요금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달 중 방통위가 재차 내놓을 예정인 MVNO 활성화 방안이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정성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