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든 한미일 구도를 흔들 필요
급기야 한국과 일본에 적극 구애 행보
일본과는 국방, 외교장관 회담까지
|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26일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이런 의중은 최근 이미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우선 한국을 대하는 자세를 살펴보면 보다 확연해진다. 이달 중순 페루 리마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에서 한중 정상회담에 흔쾌히 나선 사실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한국인들에 대한 중국 무비자 입국을 기존의 15일에 그치지 않고 내친 김에 아예 30일까지 허용한 용단 역시 거론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주한 자국 대사에 사상 최고위급을 내정한 사실,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한중 관광장관 회담을 통해 사실상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을 해제한 듯한 입장을 보인 것까지 더할 경우 중국이 한국을 대하는 자세는 이전과는 확연하게 다르다고 해야 한다. 미국 견제를 위해 한국과 관계 개선을 하겠다는 열망이 분명히 읽힌다고 단언할 수 있다.
일본에 대해서도 거의 비슷한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지난 21일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아세안확대국방장관회의(ADMM-plus)'를 계기로 일본과 국방장관 회담을 가진 사실을 먼저 꼽을 수 있다. 비록 둥쥔(董軍) 국방부장과 나카타니 겐 방위상이 상대국의 군사 행동을 지적하면서 설전을 벌이기는 했으나 만남을 가졌다는 사실 자체는 꽤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이 요청한 양국 국방장관 회담은 고민도 하지 않은 채 단칼에 거부한 사실을 상기하면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왕이(王毅) 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임)과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 간의 연내 베이징 회담 추진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2개월 만에 일본과 국방, 외교장관 회담을 연쇄적으로 가진 전례가 없었다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하지 않을 듯하다.
이외에 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尖閣열도) 인근에 설치한 부표를 섬 밖으로 옮기겠다는 의사를 최근 일본에 전달한 것이나 일본인들의 30일 무비자 중국 입국 조치를 전격 발표한 사실 역시 간과해서는 곤란하다. 어떻게든 일본과 관계 개선을 하겠다는 강렬한 의지가 분명히 읽힌다. 중국의 한일 양국에 대한 구애가 4년 동안의 '트럼프 2.0' 시대 내내 지속될 것이라는 단정은 이로 보면 절대 과하다고 하기 어렵다고 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