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한민국 갈등넘어 통합으로] 선넘는 막말에도 징계는 全無… 품격잃은 정치판의 민낯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01010017162

글자크기

닫기

박세영 기자 | 김형준 기자

승인 : 2024. 06. 30. 17:51

[3] 끊이지 않는 막말, 정치인부터 자성해야 <2>
총 53건 징계안 중 막말 22건 '1위'
국회 입성하면 상대 비방 등 여전
"정치적 수단 활용… 악순환 깨야"
정치권에서 쏟아내는 '막말'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선거철이 되면 국민을 섬기고 협치하겠다며 몸을 한껏 낮추다가도 국회에 입성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진영논리에 빠져 막말과 조롱이 판을 친다. 일각에서는 국회의원들이 막말과 명예훼손, 허위사실 유포로 인해 국회 윤리특위에 제소돼도 제대로 된 처벌이 내려지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30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제21대 국회에서는 총 53건의 징계안이 제출됐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명(27건), 국민의힘 의원 16명(21건), 무소속 의원은 6명(7건)이었다.

징계사유로는 역시 막말 관련이 22건으로 압도적이었다. 허위사실 유포가 9건으로 그 뒤를 이었고, 명예훼손도 2건 있었다. 하지만 이 중에서 본회의에 회부돼 징계가 내려진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 21대 국회에서 징계처분이 내려진 것은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가 의사진행 방해로 '출석정지 30일' 징계를 받은 것이 유일하다. 2000년 이후 발의된 의원 징계안 247건 가운데 실제로 가결된 것은 김 전 대표의 징계안과 2011년 성희롱 징계를 받은 강용석 전 새누리당 의원 등 2명뿐이다.

국회 입성 이후 태도가 달라진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김준혁 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이대생 성상납' 발언 관련해 지난 20일 이화학당과 이화여대 동창 모임을 명예훼손으로 맞고소하면서 "미 군정 시기 김활란 이대 전 총장이 운영했던 '낙랑클럽'에 이화여대 졸업생 등을 동원했으며 일부는 공식 매춘부로 활동했던 기록이 미군방첩대 기밀문서에 남아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선거 당시엔 관련 발언이 논란이 일자 "정제되지 못한 표현으로 이대 재학생, 교직원, 동문의 자긍심에 상처를 입힌 점에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했는데, 당선되고 나니 말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김 의원 측은 이와 관련해 사과를 번복한 것이 아니라 불순한 의도로 고발이 여러 건 이뤄지면서 의정활동을 방해하고 있어 최소한의 방어를 위해 법적대응에 나서게 됐다는 입장이다.

국회 법사위에서는 마치 개그 콘서트를 연상케 하는 '학벌배틀'도 벌어졌다. 지난 25일 민주당 소속의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여당 간사 선임과 관련해 항의하러 나온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공부 좀 하고 오라"고 하자, 유 의원은 "공부는 내가 좀 더 잘하지 않았겠냐"고 응수한 것이다. 이어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유 의원을 향해 "고등학교 때 공부 잘했던 걸 환갑이 넘어서 자랑하나, 한심하다"고 거들었다.

최근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를 앞두고 후보 간 비방도 선을 넘고 있다. 선거에 출마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해 원희룡 후보는 "한 전 위원장을 돕는 현역 의원들은 간신(奸臣)"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홍준표 대구시장의 경우 '총선 참패 주범', '정치적 미숙아', '어린애' 등으로 연일 맹공하고 있다. 이에 한 전 위원장은 "저를 상대로 많은 분들이 인신공격성 발언을 많이 하고 있다"며 "저는 보수정치가 품격이 있어줬으면 좋겠다"고 응수했다.

전문가들은 정치권의 '제식구 감싸기'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며 오히려 전략적인 공생 관계를 맺고 막말을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자극적이거나 강한 발언을 하는 것이 지지층한테 호응을 받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선을 넘다 보니 브레이크를 찾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실제 징계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결국 기득권의 문제다. 여야 국회의원들은 서로 싸우기도 하지만 이러한 부분에서는 공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조 교수는 "화자 중심, 감성 중심으로 말이 나오고 그게 강한 발언으로 이슈가 되고 강성 지지자들의 호응을 받는 한국 정치의 악순환을 깨야 하지만 쉽지가 않다"며 "결국 국회의원 스스로 문제 의식을 갖고 자정 노력을 해야 한다. 리더십 포지션에 있는 사람들이 의지를 갖고 여야 또한 하나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게 표현의 자유만큼이나 중요한 민주주의 핵심 요소"라며 "민주주의라는 것이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이 다는 아니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타인의 견해를 존중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세영 기자
김형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