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법원 경매에서 서울 상가 208건 중 33건(지난달 30일 기준)에 그쳤다. 낙찰률은 15.9% 수준이다.
서울의 상가 낙찰률이 10%대를 멈춰있는 것은 지난 1월 21.5%에서 2월 15.0%로 떨어진 데 이후 3개월째다. 3월 17.1%·4월 15.9% 등으로 1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다른 지역의 사정도 이와 비슷하다. 지난달 경매에 부쳐진 인천 상가 62건 중 10건만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16.1%였다. 경기 지역 상가 낙찰률도 19.7%로 전월(19.0%)에 이어 10%대에 머물렀다.
상가 낙찰률이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경기 침체에 소비 심리가 줄고 있어 상가 공실률은 오른 반면, 상가를 찾는 이들이 뜸하자 임대료가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매시장에서 상가 선호도가 낮아진 것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1분기 전국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7.6%로 전 분기보다 0.3%포인트 올랐다. 중대형 상가 공실률 역시 전 분기보다 0.2%포인트 상승한 13.7%를 기록했다.
소상공인 점유율이 높은 집합상가 공실률(10.1%)도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오르며 모든 유형의 상가 공실률이 상승했다.
공실률 상승으로 임대가격지수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소규모 상가의 임대가격지수는 전 분기보다 0.13% 하락했고, 중대형 상가와 집합상가도 각각 0.04%, 0.07% 내렸다.
반면 공실률 상승 등으로 경매가 진행된 상가는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서울의 상가 경매 진행 건수는 208건으로 전달(181건)보다 14.9% 증가했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상가 낙찰률을 보면 사람들이 상가를 찾지 않는 상황이 확연이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