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도시… 서울도 25개구
높은 집값·사교육열 등 원인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전국 261개 시군구(도 단위 32개구 포함) 가운데 지난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7명보다 낮은 곳은 70곳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26.8% 수준이다.
작년 전국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0.6명대로 내려앉을 전망이다.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0.65명)은 이미 0.6명대로 떨어졌다.
연간 합계출산율 0.7명선이 무너진 70개 시군구는 대부분 대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25개 자치구는 모두 합계출산율이 0.7명을 하회했다. 부산과 경기가 각각 12개에 달했다. 대구·인천·경남(4개), 광주·전북(2개) 등이 뒤를 이었다.
부산 중구의 합계출산율이 0.31명으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낮았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가 0.31명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통계청 관계자는 "부산 중구가 도심 쪽이다 보니 인구 대비 출생아가 많지 않은 영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 관악구가 0.38명으로 0.3명대를 기록했다. 관악구는 대학생, 수험생 등 미혼의 젊은 1인 가구가 밀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 서울 종로구(0.40명), 서울 광진구(0.45명), 서울 강북구·서울 마포구·대구 서구(0.48명), 서울 도봉·은평구(0.52명) 등의 합계출산율이 낮았다.
이처럼 도시 지역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데에는 청년 세대의 치열한 경쟁, 높은 사교육열, 집값 등이 이유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작년 12월 연구에서 초저출산의 원인을 다양한 층위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들이 느끼는 높은 경쟁압력과 고용·주거·양육 측면의 불안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출생아 규모 자체는 경기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집값을 이유로 서울에서 경기로 이동하는 젊은 부부가 많은 탓이다. 지난해 지역별 출생아 수는 경기 화성시(6700명), 경기 수원시(6000명), 경기 고양시(5000명), 경기 용인시(4900명), 충북 청주시(4800명), 경기 성남시(4400명) 순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