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2월 24일 우크라이나 정권으로부터 탄압받는 러시아 국민을 보호하고 NATO(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을 저지한다는 명분으로 전쟁을 개시했다. 확연한 군사력 차이에 우크라이나의 일방적 패배를 예상했던 초기와 달리 우크라이나 군은 서방의 화력 지원에 힘입어 헤르손 등 점령지를 수복하고, 2014년 러시아에 빼앗긴 크름반도마저 되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예상 밖의 열세에 몰린 러시아도 부분동원령을 발동해 병력을 보충하고 우크라이나 기간시설을 집중 공격하는 등 전황 반전을 위해 심기일전하고 있다. 최근 푸틴 대통령은 개전 후 처음으로 '특별 군사작전'이 아닌 '전쟁'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으며 군 수뇌부에 필요한 무기, 장비 등을 "최대한 신속히 확보하라"고 지시하며 전열 재정비에 나섰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싸움이 본격적으로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전쟁에 대한 피로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초 러시아 연방보호국(FPS)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쟁을 지속하길 원한다는 답변은 25%에 그친 반면, 우크라이나와 평화회담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80%에 달했다. 전쟁을 지지한다는 답변이 80% 수준에 육박했던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러시아 내에서도 종전에 대한 열망이 커지는 분위기다.
우크라이나의 상황도 마냥 녹록치는 않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회의론이 대두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해 11월 미국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CCGA)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우크라이나에 종전 협상을 촉구해야 한다는 응답은 7월(38%)보다 크게 높아진 47%였다.
전쟁의 장기화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도 정치적 부담이 되고 있다. 미국 중간선거에서 하원을 가져간 공화당은 우크라이나 지원이 전쟁 확대를 유도한다며 "'백지수표식' 지원은 없다"고 못박았다. 이런 상황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개전 후 첫 미국 방문은 지속적인 지원을 호소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미국이 지원한 자금은 자선이 아니라 국제 안보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전쟁을 이어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종전협상 가능성이 닫힌 것은 아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종전 협상을 위한 조건에 해당하는 '10대 평화공식(peace formula)'을 제시했다. 이는 △핵 안전 △식량안보 △에너지 안보 △포로 석방 △유엔헌장 이행 △러시아군 철수와 적대행위 중단 △정의 회복 △환경 파괴 대처 △긴장 고조 예방 △종전 공고화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과의 만남에서도 평화공식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도 지난달 22일 "우리의 목표는 전쟁의 쳇바퀴를 돌리는 것이 아니라 전쟁을 끝내는 것"이라며 종전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데 이어, 같은달 25일에도 "해법에 대해 협상할 준비가 돼있다"며 다시 한번 협상론을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의 잇따른 협상론 제기에도 실제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은 극히 작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전쟁 장기화로 인해 러시아 정권 내부에서도 불만이 커지는 만큼 협상 압박을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