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효성의 절기에세이] 입하(立夏), 여름의 길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503010001049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1. 05. 03. 21:16

아시아투데이 주필
이효성의 절기 에세이
오는 5일은 24절기 가운데 여름의 길목인 입하(立夏·start of summer)가 시작되는 날이다. 달력상으로는 아직 늦봄이지만 절기력에서는 입하일부터 입추 전날까지를 여름으로 친다. 그러나 ‘입하가 지나면 여름’이라는 말이 있듯이, 실은 입하 절기가 지나야 본격적인 여름 날씨가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온난화 현상으로 여름이 더 빨리 오는 경향이 있다. 입하에 이르면 한반도에서 입춘 어간부터 엎치락뒤치락하던 시베리아의 냉기류와 북태평양의 온기류의 밀고 당기기가 후자의 승리로 끝나면서 봄 날씨의 특징이던 큰 일교차와 변덕스러움이 사라지고 날씨가 상당히 안정된다.

입하 어간에 지상은 연중 매우 화창한 날씨에 신선한 대기 그리고 싱그러운 신록으로 일렁이게 된다. 대기에는 싸늘한 냉기가 완전히 가시고, 햇볕은 적당히 따뜻하고, 어수선한 바람도 없는 때다. 이 시기는 날씨로만 본다면 동물이나 식물이나 살기에는 연중 가장 좋은 시절이라 할 수 있다. 이때야말로 따뜻한 봄날에 온갖 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진다는 만화방창(萬化方暢)의 계절이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 때다.

이 무렵에는 온도가 차지도 덥지도 않아 생명활동에 좋은 조건이 형성되어 동식물들이 부쩍부쩍 성장하게 된다. 이때는 농작물도 잘 자라지만 해충도 번성하고 또 잡초까지도 잘 자라서 농가는 병충해 방제는 물론 각종 잡초 제거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 오늘날은 입하 무렵이면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서 모가 한창 자라고, 밭에서는 보리 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그러나 과거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하던 때에는 주로 입하 어간에 못자리를 했는데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므로 못자리 물을 빼서 그에 대처해야 한다는 뜻으로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는 속담이 있었다.

입하 절기 에세이 최종 사진 1
여름의 길목인 입하를 목전에 둔 3일 서울 여의도 공원에 이팝나무 꽃이 만개해 있다./ 이효성 주필
이 무렵부터 여름철새인 뻐꾸기와 꾀꼬리가 출몰하고, 안정되고 포근한 날씨에 푸르러지는 하늘과 초목의 싱싱한 새싹으로 푸름이 충만하게 된다. 이 시기는 ‘날아라 새들아 푸른 하늘을, 달려라 냇물아 푸른 벌판을, 오월은 푸르구나 우리들은 자란다’는 〈어린이날 노래〉(윤석중 시·윤극영 곡)에 가장 잘 맞는 철이다. 이런 점에서 1961년 제정되어 공포된 아동복지법이 어린이날을 5월 5일 즉 입하일로 정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때가 연중 날씨는 가장 온화하고, 초목은 가장 싱그럽고, 어린 새싹들은 가장 청순하고 여린 때다. 어린 새싹은 어린이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기에 어린이날은 이 무렵에 가장 잘 어울린다.
장식꽃이 여럿이서 둥근 공처럼 뭉쳐 피고 초파일을 전후해 꽃이 만발하므로 절에서 정원수로 많이 기르는 불두화(佛頭花·백당나무의 일종)가 이 시기에 핀다. 가장 대표적인 밀원식물(蜜源植物)로서 짙은 향기와 많은 양의 꿀로 유명한 아까시나무는 하얀 꽃을, 역시 밀원식물인 등나무는 연한 자줏빛의 꽃을, 입하 어간에 피운다. 이팝나무는 입하 어간에 그 꽃이 핀다 하여 본래 입하목(立夏木)이라고 불린 데서 생긴 이름이라 하나 그 꽃이 피면 흰색의 꽃잎이 네 개로 길게 갈라져 흰 쌀밥같이 보여서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 귀룽나무, 층층나무, 산사나무 등의 하얀 꽃과 장미과의 장미, 찔레꽃, 해당화, 황매화, 모과나무 등의 꽃도 입하 절기 중에 핀다. 붓꽃, 금낭화, 꿀풀, 애기똥풀, 돌나물, 씀바귀, 고들빼기, 초롱꽃, 돌단풍, 은방울꽃, 띠, 골풀 등의 풀꽃들도 이 무렵부터 6월이나 7월까지 핀다.

입하 어간에 채취한 차나무의 고운 잎순과 펴진 잎을 따서 만든 차를 세작(細雀) 또는 입하차라 부르는데 우전차에 버금가는 것으로 친다. 한국의 다성(茶聖)으로 불리는 초의선사(艸衣禪師)는 우전보다는 입하차를 더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입하차는 섭씨 70도 정도의 물에 우려 마신다. 한국 최대 녹차 생산지인 보성의 ‘다향제’는 대체로 입하 직전이나 어간에, 그리고 한반도에서 최초로 차나무를 재배한 하동의 ‘야생차문화축제’는 입하 어간에 열린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