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와 유혈 탄압에도 불구하고 반(反) 쿠데타 운동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미얀마 국내외 모습은 확연하게 대비된다.
미얀마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전날까지 군경의 총격 등으로 사망한 시민은 557명에 달한다. 주말에도 전국 각지에서 이어진 시위에서 시민 6명이 총탄에 맞아 숨졌고 곳곳에서도 군경의 폭력진압과 납치 등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군경의 탄압에 맞서 시민 및 민주진영과 연대에 나선 것은 소수민족 무장단체다. 카렌민족연합(KNU)을 비롯한 주요 10개 소수민족 무장단체는 지난 3일 화상회의를 한 후 군부의 유혈 탄압을 비판하며 “미얀마 국민과 함께 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민주진영이 연방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한 연대 가능성 타진에 이들 단체도 긍정적으로 화답하고, ‘한 달 휴전’이라는 군부의 타협 시도에 대해 거부 의사를 내비친 셈이다.
소수민족 무장단체에 입대하는 미얀마 청년들의 발걸음도 이어지고 있다. 미얀마 양곤 대학생 B씨는 아시아투데이에 “당장 이곳(양곤)에서는 군사훈련을 받을 수 없으니 우선 소수민족 무장단체에 합류한다는 사람들이 늘었다. 카친족이나 카렌족 단체로 가면 된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 실제로 떠난 사람들의 사례도 접하고 있다”고 말했다. B씨는 “나중에 연방군으로 통합될 수 있으니 우선은 그곳에서라도 싸우겠다는 것”이라 설명했다. 시위에 참가하는 시민들도 한층 정교해진 활과 화살은 물론 사제 공기총을 들고 나서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맞서는 모양새다. 크리스티네 슈라너 부르게너 유엔 미얀마 특사의 “피바다(bloodbath)와 전례없는 대규모 내전 임박한 상태”란 경고는 미얀마 국내 상황을 충분히 짐작케 한다.
그러나 미얀마 국내의 이런 움직임과는 달리 국제사회는 이렇다 할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규탄’ 목소리를 내는 데만 그치고 있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에 막힌 탓이다.
상임이사국으로 ‘거부권’을 가진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한다면 유엔도 ‘자국민 보호책임(R2P·Responsibility to Protect)’을 근거로 미얀마에 개입할 수 있는 길이 막힌다. AFP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부의 ‘뒷배’로 여겨지는 중국은 지난 1일 발표된 안보리의 비판 성명에도 미얀마 군부에 대한 추가 제재로 이어질 수 있는 “추가적 조처를 검토한다”는 문구도 반대해 삭제시켰다. 러시아는 한술 더 떠 시위 진압과정에서 발생한 군경의 사망까지 규탄하자는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 국내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외교부는 미얀마 전 지역의 여행경보를 3단계(철수권고)로 상향한 데 이어 사태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을 구성하겠다고 5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