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쿠데타 반대” 외치는 미얀마 시민들, 왜 중국대사관 앞으로 달려갔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215010008286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1. 02. 15. 13:43

Myanmar <YONHAP NO-4847> (AP)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 위치한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 앞에서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와 중국을 비판하고 있는 시위대의 모습./제공=AP·연합
지난 1일 벌어진 군부 쿠데타에 분노한 미얀마 시민들의 저항 시위가 열흘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미얀마 국민들은 중국이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를 두둔하고 있다며 분노하는 한편, 쿠데타를 주도한 군부 주요 인사들을 제재조치한 미국에는 환호를 보냈다.

15일 AP 등 외신과 현지 매체에 따르면 주말 내내 쿠데타 반대 시위가 이어진 가운데 일부 시민들이 미얀마 주재 중국대사관 앞에 모여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시민들은 중국이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를 지원하고 있으며, 미얀마 군정이 중국을 따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양곤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A씨는 전날 아시아투데이에 “주말에만 단발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라 며칠째 이어져 왔다. 중국이 미얀마 군부를 지원하고 있어 군부가 시민들의 항의에도 아랑곳하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고 전했다.

외신과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대사관 앞에 모인 시민들은 “세계가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응원하는데 중국은 군사정권만 응원한다”, “중국은 미얀마 군부와 군 독재자(민 아웅 흘라잉 군 최고사령관)에 대한 지지를 멈춰라” 등의 글귀가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인터넷을 통해 중국이 미얀마 군부에 무기와 일명 ‘만리방화벽’으로 불리는 인터넷 통제기술을 지원한다는 의혹도 빠르게 퍼지며 반중정서에 불을 지폈다.
이 의혹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온 양곤 공항 활주로에 서있는 중국 화물기 사진에서 비롯됐다. 쿠데타 이후 외국에서 오는 항공기 착륙이 사실상 전면 금지됐던 차에 포착된 해당 항공기는하필 중국 화물기였던 것이다. 일부 네티즌들이 해당 항공기에 인터넷을 통제하기 위해 지원을 온 중국 IT전문가가 탑승하고 있으며 통신장비도 싣고 왔다는 소문을 퍼나르면서 의혹은 확산됐다. 사진에서 포착된 항공 화물이 중국이 군부에 지원하는 무기라는 의혹까지 번졌다. 이에 중국 대사관은 “해산물 등을 실은 정기 화물기”라고 해명했으나 다수의 시민들은 믿지 않고 있다. 중국대사관 앞에서 벌어진 시위에서는 일부 시민들이 “해당 항공 화물기로 들어온 해산물을 보여달라”고 외치기도 했다.

Myanmar <YONHAP NO-4509> (AP)
미얀마 양곤에 위치한 미국 대사관 앞으로 모여들고 있는 쿠데타 반대 시위대의 모습./제공=AP·연합
반면 지난 10일 미얀마 쿠데타를 주도한 군부 지도자와 가족,관련 기업들을 제재하기로 결정한 미얀마 주재 미국대사관 앞은 미국의 조치를 지지하는 시민들이 몰리기도 했다. A씨는 “시민들이 미국 대사관 앞에서 미국의 군부 제재조치를 환영한다는 뜻으로 박수를 치거나 고맙다는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군부 쿠데타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하기 위해 서구권 국가의 공관 앞을 찾아 시위를 벌이는 시민들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얀마에서는 국립병원의 의료진을 비롯해 각 부처 공무원과 교사, 국영철도 근로자들과 항공 관제사 등이 업무를 거부하고 쿠데타 반대 시위에 참여하는 등 시위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14일 저녁에는 쿠데타 이후 처음으로 양곤 시내에서 장갑차가 목격됐고, 15일 새벽부터 오전 9시까지 미얀마 전역의 인터넷이 차단돼 군부의 쿠데타 반대 시위 강제진압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앞서 군부는 지난 13일 법원의 허가 없이 시민들을 24시간 이상 구금할 수 없고 개인의 거주지·사적 장소를 압수 수색할 때도 법원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시민보호법’을 무력화 하며 시위 탄압에 대한 입장을 재천명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