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탈원전 부작용·ESS화재 ‘도마’… 산자위 국감서 난타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1007010003646

글자크기

닫기

최원영 기자

승인 : 2019. 10. 08. 06:00

성윤모
7일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의 ESS 배터리 시스템 관련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와 관련한 의혹과 탈원전 이후 불거진 부작용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화재 원인을 LG화학 배터리 자체 문제로 지목하며 ESS 자발적 리콜을 권고했고,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비용 부담이 전기료 인상으로 이어져 국민 부담이 가중 될 것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7일 국회 산자위 소속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내놓은 배터리 사고의 원인과 정부 조사발표에 대한 추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LG화학 배터리 화재사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전체 화재 26건의 54%를 차지했다. 특이점은 14건 화재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LG화학 중국 난징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이었다는 점이다.

만약 배터리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전력변환장치(PCS) 등의 문제였다면 2018년 이후 제품에는 왜 단 한 건의 화재도 일어나지 않았는지 합리적인 의심이 가능하다는 게 의원실 설명이다.

이 의원실은 LG화학 관련자들도 배터리시스템에서의 발화는 결국 이 시스템을 제조해 납품한 배터리 제조사의 책임이라는 점을 부인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고 관련 정황을 담은 녹취록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LG화학 경영진은 리콜을 진행하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 판매된 물량까지 따져 약 1500억원의 추가비용과 신인도 추락을 우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글로벌 리더기업으로 세계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사람들이 사건을 은폐하고 물밑에서 쉬쉬 하며 합의를 종용해서는 안 될 일”라고 맹비난했다.
이에 대해 LG화학 측은 “선제적 조치로 2017년 하반기 난징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가 적용된 사이트에 대해서는 충전율을 70%로 가동 중이며 손실비용에 대해서는 당사가 부담해 사업주들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했다. 회사 자체적으로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해 정밀 실험 및 분석에 착수한 상황으로, 결과가 나오는 대로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회사는 정밀실험에 대한 구체 기간을 특정하긴 어렵지만 현재로선 연말까지 실험 및 분석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탈원전 정책 3년 만에 정책 실패 여파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는 비판도 쏟아졌다.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은 “에너지공기업들의 재무상황이 2017~2018년 사이에 일제히 악화됐다”면서 “설비효율 하락·원전 인력 유출·REC가격 하락 등 탈원전으로 인한 문제점이 동시다발적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윤한홍 의원은 “최근 5년간 전국서 발생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민원이 1483건으로 해마다 폭증하고 있다”면서 “민원해결 비용을 감안하면 신재생 발전비용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도 석탄발전 중단 시 1조원 이상의 가동 비용이 발생해 가구에 따라 월 9417원의 전기료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또 2025년까지 2만8000톤에 달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쏟아져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처리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원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