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고령자·장애인 등 금융 취약계층은 여전히 점포 방문을 선호한다. 금융당국도 점포 축소에 따른 금융 취약계층의 불편을 막기 위해 모범규준을 제정하려고 하고 있지만 은행권과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는 10월 말 현재 4706개로 집계됐다. 최근 3년간 5대 은행에서만 390개의 점포가 줄었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별로 점포수를 살펴보면 농협은행의 점포는 2015년 말 1169개에서 올해 10월 1150개로 19개 줄었다. 같은 기간 국민은행의 점포는 1138개에서 1052개로 86개의 점포가 사라졌다. 우리은행은 956개에서 878개로 78개 줄었고, 신한은행은 899개에서 870개로 29개 축소됐다. 하나은행의 경우 934개에서 756개로 178개 점포가 줄어들었다. 하나은행은 외환은행과의 통합해 출범한 만큼 인접한 점포를 정리하면서 가장 큰 폭의 감소폭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은행권이 영업점을 줄여나가는 것은 모바일·인터넷을 통한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은행들이 잇달아 디지털 전략을 강화하면서 고객들의 점포 방문 필요성이 크게 줄어들었다. 지점을 찾는 고객이 줄면서 지점의 수익성도 덩달아 떨어지는 점도 점포 통폐합의 배경으로 꼽힌다.
은행의 지점 통폐합이 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지난 7월부터 ‘은행 지점 폐쇄절차 모범규준(이하 모범규준)’을 추진하고 있다. 이 모범규준이 제정되면 은행들은 점포를 축소할 때 사전에 고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우체국 점포망을 활용하는 등 대체수단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은행권이 과도한 경영침해라는 입장을 내세우면서 모범규준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팀(TFT)도 구성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각 은행별 의견을 취합하는 등 논의만 이어지고 있다.
모범규준 제정에 속도가 나지 않으면서 은행권 점포수 축소 전략은 계속되고 있다. 우리은행은 내년부터 종로6가지점, 가락시장출장소 등 6개 영업점을 통폐합할 계획이고 하나은행은 다음달 중에 가좌공단, 반포, 회기역, 미아동 지점을 인근 영업점과 통합할 예정이다. IBK기업은행도 내년 1월 YTN출장소와 한동대출장소를 각가 상암동, 포항지점으로 통합하기로 했다.
은행권이 앞으로도 인근 영업점이나 수요가 줄어드는 점포에 대해 통폐합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어서 점포 축소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은행들은 영업점을 정리하는 한편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는 곳에는 영업점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고객의 편의성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중복 점포가 있으면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신도시 등 고객들의 신규 수요가 있는 곳에는 영업점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