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유승현 “극단적 사회갈등 해결 열쇠,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추진해야”

유승현 “극단적 사회갈등 해결 열쇠,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추진해야”

기사승인 2023. 04. 18. 18: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 국회 정책토론회
유승현 교수,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의 도입 필요성 강조
"언론사 포털 의존, 경제적 종속 심화"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정책적 대안"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 국회 정책 토론회
아시아투데이 송의주 기자 = 유승현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가 18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송의주 기자
대한민국이 직면한 포털기반 뉴스 생태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을 대안으로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체 뉴스 시장이 거대 공룡 포털인 네이버·카카오로 양분된 뉴스 공급망을 벗어나 언론사들이 함께 새로운 뉴스의 공급망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를 통해 뉴스를 보는 새로운 창구가 마련될 경우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 판단에 부합하는 정보만 주목하는 '확증편향'·뉴스 소비 양극화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승현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는 18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정책 토론회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에서 발제자로 나서 "포털기반 뉴스 생태계의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며 "포털뉴스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네이버·카카오 중심의 뉴스 생태계의 문제점을 언론사·플랫폼·이용자·제도적 차원으로 소개했다.

그는 "언론사의 포털 의존과 경제적 종속이 심화되고 있다"며 "언론사와 포털이 맺는 수익배분 계약은 기준이 없고 매체마다 상이한 조건이 적용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플랫폼 차원의 문제는 포털 알고리즘의 불투명성이 대표적"이라며 "뉴스 클러스터링과 추천 알고리즘의 원리나 세부 내용은 비공개지만 사람의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용자의 뉴스 소비 양극화도 포털 생태계의 한계로 지적된다. 유 교수는 "플랫폼 미디어의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이 에코 체임버와 필터버블 현상을 야기해 이용자의 확증편향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털의 뉴스 추천 알고리즘이 다양성을 제한해 편향적 뉴스 소비 고착화, 정치적 양극화, 여론 형성 기능의 약화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포털뉴스 서비스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이토록 막대하지만 불분명한 법적 지위도 문제다.

유 교수는 현행 포털뉴스 서비스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언론계, 언론 유관기관, 학계 전문가들은 지난해 초부터 디지털 뉴스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포럼을 구성하고 이같은 논의를 이어왔다. 한국언론재단은 지난해 12월 발간한 '디지털 뉴스 유통구조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도입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은 공공재단이 운영하는 구조다. 운영조직(사무국)은 한국언론진흥재단·포럼·시민단체 등이 논의해 신설한다는 구상이다.

유 교수는 "기사 제공과 배열 방식, 알고리즘 활용 범위 등 구체적인 운영 방식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의 기사 제공 방식은 아웃링크를 원칙으로 하되 준비 기간을 고려해 일정 기간은 인링크를 혼용한다. 보고서는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이 문을 열면 하루 평균 10만건 이상의 기사가 유입될 것으로 봤다.

같은 사안을 취재한 여러 기사는 알고리즘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다만 이용자 맞춤형 및 구독형 서비스는 시행하지 않는다. 유 교수는 "특정 언론사의 확증편향을 만들어낼 수 있고,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입점 매체는 신청 자격을 충족한 언론사 가운데 심사를 거쳐 참여시키기로 했다. 모든 언론사에 입점 기회는 열려있지만 외부 전문기관, 심사위원회 심사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는 것이다. 입점 매체는 기본 기사 제공료를 받고, 평가 요소 충족할 때 일정 금액을 차등 지급할 방침이다.

유 교수는 "언론사들의 참여가 불분명하다는 현실적 한계 등이 있지만 현재 포털뉴스 서비스를 대체할 유일한 방안"이라며 "포털을 대체하기 위해선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이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